28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28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자금 관리가 엄격한 시중은행에서 600억원대의 대형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직원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600억원을 개인 계좌로 인출했지만, 우리은행은 전날 내부감사를 통해 횡령 사실을 파악했다. 그간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도 충격적이라는 반응이다.

28일 금융권과 경찰 등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전날 내부 감사를 통해 직원의 수 백억원대 횡령 사실을 확인, 전날 경찰에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상 횡령 혐의로 해당 직원을 고발했다.

10년 넘게 우리은행에 재직한 직원은 기업개선부에서 일하면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6년간 세 차례에 걸쳐 600억원을 개인 계좌로 인출했다. 이날 오전 횡령 규모는 500억원대로 알려졌지만, 실제는 이보다 많은 600억원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횡령한 금액은 옛 대우일렉트로닉스를 인수하려던 이란 가전업체 엔텍합으로부터 몰수한 계약금의 일부인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우리은행은 2010∼2011년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을 주관한 바 있다. 횡령에 사용된 개인 계좌는 2018년 마지막으로 인출이 이뤄진 직후 곧바로 해지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직원은 전날 저녁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직접 자수했으며, 현재 수사를 받고 있다.

신뢰가 생명인 은행권에서 대규모 횡령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부 감사가 진행되기 전에 담당자와 관리자들이 절차를 밟아 처리했을 텐데, 6년간 드러나지 않았다는 게 이상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횡령 금액은 지난 한 해 동안 국내 대형은행에서 임직원의 횡령·유용이나 배임 등으로 적발된 금액보다 크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산업·SC제일·씨티·부산은행 등 10개 은행에서 지난해 적발된 금융사고는 161억3000만원(총 28건)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도 이번처럼 대규모 횡령이 발생하자 곧바로 검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사건과 관련해 일반은행 검사국은 오늘 중 즉시 현장 수시검사에 착수해 사고 경위 등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