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 색깔·무늬만 달라져도 다시 인증…"KC인증 부담 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기중앙회, 완구·학용품업계 조사 결과 76% "불합리, 부담커"
KC인증 연간 18개 품목, 비용만 1546만원, 일부선 4300만원 부담
매출 대비 인증비용 3~5%수준…"비용 감면, 유효기간 연장을"
KC인증 연간 18개 품목, 비용만 1546만원, 일부선 4300만원 부담
매출 대비 인증비용 3~5%수준…"비용 감면, 유효기간 연장을"
![주말 서울지역 한 시장내 전시된 인형들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29816418.1.jpg)
우리나라 완구 및 학용품업계 4곳 중 3곳은 정부의 KC인증제도가 부담이 크고 불합리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증을 취득하는 데 평균 2.7개월이 걸리고 연간 18개 품목을 인증하며 연간 1546만원의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완구 및 학용품업계 205곳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일 밝혔다. 76.1%는 KC인증제도 전반에 대해 부담되고 불합리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평균 KC인증 품목수는 18개로, 연매출 10억원 이상의 경우 46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검사비용은 평균 1546만원으로 종업원수 30~99인 중소기업의 경우 4200만~4300만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3.7%으로 '5%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도 22.1%에 달했다.
완구와 문구업계는 최근 강화된 규제로 중금속 7종 항목에 대한 검사가 추가돼 인증부담이 가중됐다. 응답기업의 절반가량(49.3%)은 추가 검사를 시행해야하며 평균 추가비용은 685만원, 추가 소요기간은 2.2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KC인증제도에 대한 중소기업계 애로사항(중복 응답)으로는 ‘KC인증 취득비용 부담’을 꼽은 기업이 80.0%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동일모델 내 종류별·재질별 인증부담’(56.6%), ‘5년이라는 짧은 유효기간’(52.7%), ‘환경규제 강화로 인한 검사항목 추가 부담’(44.4%) 순으로 조사됐다. 제도개선 방안(중복 응답)으로 ‘인증취득비용 감면’이 78.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단순 기간만료로 재인증시 인증부담완화(기본모델만 인증, 파생모델은 인증 면제)'가 58.5%를 차지했다. 보통 5년마다 인증기간 만료가 도래하는 데 초기 개발 모델(기본모델)과 여기에 색깔이나 재질 등을 일부 수정한 파생모델에 모두 인증 의무를 부과하지 말고 기본 모델에만 의무를 부과하자는 것이다. 이밖에 ‘유효기간 연장 또는 폐지’(57.1%), ‘추가검사항목 비용 한시적 지원’(28.8%)의 의견도 제시됐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대부분 영세한 완구와 학용품업계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이기 때문에 제품재질별, 종류별 인증을 받느라 인증절차나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인증비용을 감면하고 유효기간을 연장해주는 등 업계의 부담을 확실하게 낮춰주는 제도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