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폭증하는데 전력수급 어쩌나…"에너지 '분산'이 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 개최
전기차 보급 가속화에 따른 전력 수급 문제에 대응해 '분산 에너지'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휘강 산업통상자원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 서기관은 3일 제주 서귀포시 중문동 ICC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향후 재생 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 계통의 부담 등으로 인해 분산 에너지의 효과적 활용이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분산 에너지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곳이나 인근 지역에서 소규모로 생산·공급하는 에너지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소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재생 에너지 개념을 포괄하고 있어 탄소 중립을 위해선 활성화가 필수다. 이미 일부 지역에선 정부 주도 하에 전력 수요 분산화가 진행 중이다. 충남 홍성군의 에너지 자급자족 사례가 대표적이다. 홍성군에서는 축산 폐기물을 활용한 재생 에너지로 자체 에너지 수급 체계를 수립해 운영 중이다.
분산 에너지는 전기차 급증에 따른 폭발적 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비하는 의미도 있다. 유영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은 "전기차 증가에 따른 전력수급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규모 집중형 전원에 의존했던 전력 시스템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전원의 다각화를 추진해야 한다"면서 분산 에너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보급된 전기차는 약 23만8000대다. 오는 2025년에는 120만대, 2030년에는 362만대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소 구축 관련 사회적 갈등과 비용 문제도 분산 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배경이다.
하지만 분산 에너지의 가장 큰 문제는 공급 '변동성'이다. 재생 에너지가 생산 기반인 만큼 공급과 수요를 100% 일치시킬 수 없어서다. 이에 초과 공급에 대응한 시스템·설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 주장이다.
김 서기관은 "(정부는) 안정적 전력 계통 운영을 위해선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아이오닉5, EV6등 현대차그룹 전기차에 적용된 V2L(Vehicle-to-Load) 기능 등이 분산 에너지 확대를 뒷받침할 방안으로 언급됐다.
이와 관련해 최웅철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인 충전 설비 구축 과정에서 실생활 내 분산 에너지 활성화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며 "단순한 전기차 충전을 뛰어넘어 전력제어, V2G(Vehicle to Grid) 등의 구체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은 이날부터 6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9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막식에 앞서 개최됐다.
제주=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김휘강 산업통상자원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 서기관은 3일 제주 서귀포시 중문동 ICC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향후 재생 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 계통의 부담 등으로 인해 분산 에너지의 효과적 활용이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분산 에너지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곳이나 인근 지역에서 소규모로 생산·공급하는 에너지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소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재생 에너지 개념을 포괄하고 있어 탄소 중립을 위해선 활성화가 필수다. 이미 일부 지역에선 정부 주도 하에 전력 수요 분산화가 진행 중이다. 충남 홍성군의 에너지 자급자족 사례가 대표적이다. 홍성군에서는 축산 폐기물을 활용한 재생 에너지로 자체 에너지 수급 체계를 수립해 운영 중이다.
분산 에너지는 전기차 급증에 따른 폭발적 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비하는 의미도 있다. 유영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은 "전기차 증가에 따른 전력수급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규모 집중형 전원에 의존했던 전력 시스템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전원의 다각화를 추진해야 한다"면서 분산 에너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보급된 전기차는 약 23만8000대다. 오는 2025년에는 120만대, 2030년에는 362만대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소 구축 관련 사회적 갈등과 비용 문제도 분산 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배경이다.
하지만 분산 에너지의 가장 큰 문제는 공급 '변동성'이다. 재생 에너지가 생산 기반인 만큼 공급과 수요를 100% 일치시킬 수 없어서다. 이에 초과 공급에 대응한 시스템·설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 주장이다.
김 서기관은 "(정부는) 안정적 전력 계통 운영을 위해선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아이오닉5, EV6등 현대차그룹 전기차에 적용된 V2L(Vehicle-to-Load) 기능 등이 분산 에너지 확대를 뒷받침할 방안으로 언급됐다.
이와 관련해 최웅철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인 충전 설비 구축 과정에서 실생활 내 분산 에너지 활성화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며 "단순한 전기차 충전을 뛰어넘어 전력제어, V2G(Vehicle to Grid) 등의 구체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은 이날부터 6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9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막식에 앞서 개최됐다.
제주=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