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예정인 후반기 국회 개원을 앞두고 여야 국회의원들이 선호하는 상임위원회 배정을 위해 ‘물밑 작업’에 나섰다. 국토교통위원회와 정무위원회 등 인기 상임위를 희망하는 의원이 서로 소속을 교환하거나 원내지도부를 만나는 등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의원들이 본격적인 물밑 작업에 들어가면서 벌써 국회에서는 각각 기획재정위원회와 정무위에 속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상임위를 교환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서울과 경기, 광주를 지역구로 둔 의원 3명이 ‘3각 트레이드’로 상임위를 이동한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국회법에 따라 상임위 배정은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대표가 협의해 결정한다. 여기에는 의원들의 의사 외에도 정당별 의석수와 선수, 지역구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된다. 기재위의 민주당 의원실 소속 비서관은 “의원들이 후반기 국회에서 정무위로 가기 위해 원내대표를 설득하고 있다”며 “정무위 경력이 있는 보좌진의 영입도 이뤄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의원들이 특정 상임위를 선호하는 이유는 제각각이다. 특정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의원은 관련 상임위에 들어가 입법 활동으로 이름을 알리고 당선을 노린다. 지역 활동에 큰 비중을 두는 의원은 자신의 지역에 피감기관이 있는 상임위에 들어가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한다.

정치권에서는 의원들이 가장 선호하는 상임위로 국토위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정무위를 꼽는다. 국토위는 도로와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인프라)을 담당하다 보니 지방 의원들이 선호한다. 산자위는 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전담하기 때문에 지역을 가리지 않고 많은 의원에게 인기가 높다. 비슷한 이유로 교육위원회를 희망하는 의원도 있다.

인프라가 고도화된 수도권 의원들은 정무위를 선호한다. 정무위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비롯해 총리실과 공정거래위원회 등을 소관한다. 따올 수 있는 지역 예산은 적지만 관심도가 높은 기업이나 금융 이슈를 다룰 수 있어 인기가 있다. 경제 및 사법 분야 전문성을 갖춘 의원들은 기재위와 법제사법위원회를 선호한다.

상대적으로 의원들의 선호도가 낮은 상임위원회로는 외교통일위원회와 국방위원회가 꼽힌다. 입법 활동이 수월하지 않은 측면이 있고, 대중의 관심이 낮을뿐더러 소관 기관이나 지역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예산도 적기 때문이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