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를 앱·VR로 치료?…항암 시장 노리는 디지털 치료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빅씽크, 암 환자 불안·우울증 치료제 국내 판권 획득
라이프시맨틱스, 폐암 환자 재활 SW 내년 출시
헤링스, 위암 환자에 식이요법 제시
라이프시맨틱스, 폐암 환자 재활 SW 내년 출시
헤링스, 위암 환자에 식이요법 제시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에 집중돼있던 디지털 치료제의 시장이 항암으로 넓어지고 있다. 그동안 항암 치료에 비해 소홀히 여겨졌던 암 환자의 정신건강 관리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피에스의 자회사 빅씽크테라퓨틱스는 미국 블루노트와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치료제 '아튠(attune)'과 '드림랜드(DreAMLand)'의 국내 판권 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빅씽크는 아튠과 드림랜드의 국내 임상 개발 및 허가,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인 권한을 갖게 됐다.
아튠은 성인 암 환자의 불안·우울증을 소프트웨어로 치료해주는 디지털 치료제다. 디지털 치료제란 게임,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의 소프트웨어로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202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튠을 혁신의료기기(BDD)로 지정했다. BDD가 되면 의료기기 허가 심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블루노트는 현재 진행 중인 확증 임상시험이 끝나면 FDA에 아튠의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드림랜드 역시 올 1월 BDD 지정을 받았다. 빅씽크는 아튠에 대해 올 하반기 임상을 신청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직접 암 환자 대상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도 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등 호흡기질환자의 재활을 돕는 디지털 치료제 '레드필 숨튼'을 개발 중이다. 환자가 개인 측정기기로 활동량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면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해준다. 이를 문서로 작성해 의료진과 환자가 체계적인 재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현재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레드필 숨튼의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식약처 승인을 거쳐 내년 출시한다는 목표다.
헤링스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위 절제술 등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식이요법 등을 제시해 예후를 관리해주는 방식이다. 헤링스는 지난해 한미약품의 관계사인 코리로부터 4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그동안 환자의 자율에 맡겨졌던 정신건강 및 예후 관리를 디지털 치료제 기업들이 파고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접근이 환자의 삶의 질뿐 아니라, 생존률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연구팀이 세계 암 환자 2200만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자살률은 일반인에 비해 80% 이상 높았다.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을 어떻게 관리하는지가 암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는 세계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2028년 191억달러(약 24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11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피에스의 자회사 빅씽크테라퓨틱스는 미국 블루노트와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치료제 '아튠(attune)'과 '드림랜드(DreAMLand)'의 국내 판권 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빅씽크는 아튠과 드림랜드의 국내 임상 개발 및 허가,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인 권한을 갖게 됐다.
아튠은 성인 암 환자의 불안·우울증을 소프트웨어로 치료해주는 디지털 치료제다. 디지털 치료제란 게임,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의 소프트웨어로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202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튠을 혁신의료기기(BDD)로 지정했다. BDD가 되면 의료기기 허가 심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블루노트는 현재 진행 중인 확증 임상시험이 끝나면 FDA에 아튠의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드림랜드 역시 올 1월 BDD 지정을 받았다. 빅씽크는 아튠에 대해 올 하반기 임상을 신청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직접 암 환자 대상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도 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등 호흡기질환자의 재활을 돕는 디지털 치료제 '레드필 숨튼'을 개발 중이다. 환자가 개인 측정기기로 활동량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면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해준다. 이를 문서로 작성해 의료진과 환자가 체계적인 재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현재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레드필 숨튼의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식약처 승인을 거쳐 내년 출시한다는 목표다.
헤링스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위 절제술 등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식이요법 등을 제시해 예후를 관리해주는 방식이다. 헤링스는 지난해 한미약품의 관계사인 코리로부터 4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그동안 환자의 자율에 맡겨졌던 정신건강 및 예후 관리를 디지털 치료제 기업들이 파고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접근이 환자의 삶의 질뿐 아니라, 생존률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연구팀이 세계 암 환자 2200만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자살률은 일반인에 비해 80% 이상 높았다.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을 어떻게 관리하는지가 암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는 세계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2028년 191억달러(약 24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