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도는 백신 우선 지원…먹는 복제약도 제공할듯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북한에 코로나19 백신 등 의약품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북한에 공여 가능한 백신과 치료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에 지원할 주요 품목으로 국내 코로나19 잔여 백신이 가장 유력하다. 접종률이 86.8%(2차 접종 완료)로 세계 최고 수준인 데다 최근엔 잔여분 상당량을 폐기할 정도로 백신이 남아돌고 있다. 반면 북한은 아프리카 에리트레아와 함께 전 세계에서 둘뿐인 코로나19 백신 미접종 국가로 꼽힌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백신 잔여량은 총 1466만3000회분이다. 화이자 760만9000회분, 모더나 331만5000회분, 얀센 198만6000회분, 노바백스 157만3000회분 등이다. 이 중 유통기한이 1개월 이내인 백신은 7만 회분, 3개월 이내는 642만4000회분이다.

업계에선 북한의 의약품 유통 인프라를 감안해 상온 유통이 가능한 백신을 후보로 꼽는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위탁생산하고 있는 노바백스 백신은 단백질 재조합 방식이어서 2~8도의 냉장 유통이 가능하다.

업계에선 국산 백신과 치료제를 북한에 보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노바백스와 생산 방식이 같은 백신을 개발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이 될 가능성이 높다.

치료제도 북한 공급이 가능한 품목이다. 셀트리온과 동방에프티엘은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제네릭 생산을 준비 중이다. 일동제약은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S-217622)를 하반기 국내 생산할 계획이다. 일동제약은 다음달께 일본 정부가 이 치료제의 긴급사용을 승인하면 국내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정부는 백신 외에 먹는 치료제와 해열제, 진통제 등 의약품과 다양한 의료물품 지원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전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백신뿐 아니라 해열제, 진통제, 주사기, 소독약 등도 북한에 절대적으로 부족할 것”이라며 “지원할 수 있을 때 바로 지원할 수 있도록 최대한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