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 선생은 3폭거사"…다작 비결은 다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편집기자 시절 도서관 등서 5000권 독파
한창 땐 하루 원고지 500장 쓴 적도
한창 땐 하루 원고지 500장 쓴 적도
이문열 선생은 ‘다작(多作)의 작가’로 통한다. 1979년 등단 이후 ‘사람의 아들’ ‘황제를 위하여’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약 90권의 소설을 발표했다. 줄줄이 화제작이었다. 동인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중앙문화대상 등 국내 주요 문학상을 휩쓸었다.
다작의 비결은 다독(多讀)이다. 그는 “젊어서 매일신문 편집기자 등으로 일하면서 읽은 책만 5000~6000권 될 것”이라며 “매일신문에 작은 도서관이 있어서 틈날 때마다 거기 처박혀 책을 읽었다”고 했다. “10년 뒤에 찾아갔더니 매일신문 기자 한 명이 그럽디다. ‘아니, 어떻게 무슨 책이든 빌리려고 보면 (대출기록표) 제일 끝에 선생님 이름이 있습니까?’”(웃음)
작품이 한 번 떠오르면 글을 써내는 속도도 무섭다.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보름 만에 탈고했다. 얼마나 집중적으로 글을 쏟아냈는지 약 40년 전의 일인데 아직 날짜까지 생생하게 기억했다. 그는 “1987년 4·13 호헌조치를 보고 쓰기 시작했는데, 《세계문학》에 원고를 넘긴 게 아마 그해 4월 26일일 것”이라고 했다.
기자가 집필 속도에 놀라자 “그 정도 집필량은 많은 축도 아니다”는 반응이 돌아왔다. “아주 급할 때는 하루에 원고지 400~500장을 쓸 때도 있었습니다. 《삼국지》 《수호지》 같은 번역물을 연재할 때가 그랬죠. 하루에 300장 이상 쓰면 진이 빠져서 밤에 잠도 못 자요.”
그의 집필 습관을 곁에서 오래도록 지켜봐온 제자들이 그에게 붙여준 별명은 ‘삼폭거사’. 박석근 부악문원 사무국장(소설가)은 “선생님이 워낙 포악할 정도로 글을 많이 쓰고 술 많이 잡숫고 잠을 많이 주무셔서 생긴 별명”이라며 웃었다.
이 선생이 1998년 사재를 털어 세운 부악문원은 현대적 개념의 서원이다. 후배 작가들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도록 숙식을 제공하고 함께 인문학을 논한다. 경기 이천 부아악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부악문원에는 작가 레지던시, 이 선생 사택, 집필실이 마련돼 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다작의 비결은 다독(多讀)이다. 그는 “젊어서 매일신문 편집기자 등으로 일하면서 읽은 책만 5000~6000권 될 것”이라며 “매일신문에 작은 도서관이 있어서 틈날 때마다 거기 처박혀 책을 읽었다”고 했다. “10년 뒤에 찾아갔더니 매일신문 기자 한 명이 그럽디다. ‘아니, 어떻게 무슨 책이든 빌리려고 보면 (대출기록표) 제일 끝에 선생님 이름이 있습니까?’”(웃음)
작품이 한 번 떠오르면 글을 써내는 속도도 무섭다.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보름 만에 탈고했다. 얼마나 집중적으로 글을 쏟아냈는지 약 40년 전의 일인데 아직 날짜까지 생생하게 기억했다. 그는 “1987년 4·13 호헌조치를 보고 쓰기 시작했는데, 《세계문학》에 원고를 넘긴 게 아마 그해 4월 26일일 것”이라고 했다.
기자가 집필 속도에 놀라자 “그 정도 집필량은 많은 축도 아니다”는 반응이 돌아왔다. “아주 급할 때는 하루에 원고지 400~500장을 쓸 때도 있었습니다. 《삼국지》 《수호지》 같은 번역물을 연재할 때가 그랬죠. 하루에 300장 이상 쓰면 진이 빠져서 밤에 잠도 못 자요.”
그의 집필 습관을 곁에서 오래도록 지켜봐온 제자들이 그에게 붙여준 별명은 ‘삼폭거사’. 박석근 부악문원 사무국장(소설가)은 “선생님이 워낙 포악할 정도로 글을 많이 쓰고 술 많이 잡숫고 잠을 많이 주무셔서 생긴 별명”이라며 웃었다.
이 선생이 1998년 사재를 털어 세운 부악문원은 현대적 개념의 서원이다. 후배 작가들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도록 숙식을 제공하고 함께 인문학을 논한다. 경기 이천 부아악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부악문원에는 작가 레지던시, 이 선생 사택, 집필실이 마련돼 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