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성 낮아" → "배제할 수 없어"…'빅스텝' 카드 꺼낸 이창용 [조미현의 외환·금융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준금리 한번에 0.5%p 인상 가능성 열어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6일 "향후 빅스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국도 미국처럼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이 총재가 한국의 빅스텝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찬 회동을 가진 뒤 "4월 상황까지 봤을 때는 그런 고려(빅스텝)를 할 필요 없는 상황이지만, 앞으로 물가가 얼마나 올라갈지 종합적으로 데이터를 보면서 판단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총재는 당초 한국이 빅스텝을 할 필요성은 낮다는 입장이었다. 지난달 17일 이 총재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한국은 한 번에 0.25%포인트를 넘게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조정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며 한국의 빅스텝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한국은 지난해 8월부터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는 이유에서다. 한은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연 1.5%로 올렸다.
이 총재는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기준금리를 75bp(0.75%포인트) 올리지는 않겠다고 못 박았다"며 "한국은 (빅스텝을 배제하기에) 데이터가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 상승과 성장률이 어떻게 변할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며 "5월 금융통화위원회 상황을 보고 7, 8월 경제 상황과 물가 변화 등을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가 한국의 빅스텝 카드를 꺼낸 것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심각한데다 외환시장까지 요동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10년 만에 4%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4.8%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공격적인 긴축과 중국발(發) 봉쇄 쇼크 등으로 금융위기 수준인 1300원대를 위협하고 있다.
이 총재는 그러나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역전에 대해서는 여전히 허용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8%로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적어도 두 차례 이상 50bp(0.05%포인트) 올릴 것이란 점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다"며 "한국의 상황은 미국과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은 물가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미국 정도는 아니다"며 "반드시 미국과의 금리차만을 염두에 두고 정책을 하는 것보다 성장과 물가를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생기면 여러 가지 대체할 상황들에 적응하는 게 낫지, 금리차를 막는 방향으로 정책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의 이런 발언이 알려진 뒤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7원20전 내린 1277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통상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은 원화 가치 올려 원·달러 환율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이 총재는 그러나 기준금리 5월 추가 인상에 대해서는 "아직 금통위원들과 상의 전이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이날 추 부총리와 취임 후 처음으로 조찬 회동을 가졌다. 두 사람은 회동에서 "최근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고조된 가운데 물가 상승 압력이 크게 확대되고, 성장 둔화 가능성도 함께 커졌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한은은 전했다.
추 부총리는 "현재 경제 상황이 엄중하고 정책 수단은 상당히 제약돼 있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도 중앙은행과 정부가 경제 상황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인식을 공유하고, 정말 좋은 정책 조합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최근 경제는 정부 부처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정책 공조를 해야 그나마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상황"이라며 "부총리와 한은 총재가 만나는 게 뉴스가 되지 않을 정도로 해야 한다는 부총리 말씀에 공감한다"고 화답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이 총재는 이날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찬 회동을 가진 뒤 "4월 상황까지 봤을 때는 그런 고려(빅스텝)를 할 필요 없는 상황이지만, 앞으로 물가가 얼마나 올라갈지 종합적으로 데이터를 보면서 판단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총재는 당초 한국이 빅스텝을 할 필요성은 낮다는 입장이었다. 지난달 17일 이 총재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한국은 한 번에 0.25%포인트를 넘게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조정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며 한국의 빅스텝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한국은 지난해 8월부터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는 이유에서다. 한은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연 1.5%로 올렸다.
이 총재는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기준금리를 75bp(0.75%포인트) 올리지는 않겠다고 못 박았다"며 "한국은 (빅스텝을 배제하기에) 데이터가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 상승과 성장률이 어떻게 변할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며 "5월 금융통화위원회 상황을 보고 7, 8월 경제 상황과 물가 변화 등을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가 한국의 빅스텝 카드를 꺼낸 것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심각한데다 외환시장까지 요동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10년 만에 4%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4.8%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공격적인 긴축과 중국발(發) 봉쇄 쇼크 등으로 금융위기 수준인 1300원대를 위협하고 있다.
이 총재는 그러나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역전에 대해서는 여전히 허용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8%로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적어도 두 차례 이상 50bp(0.05%포인트) 올릴 것이란 점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다"며 "한국의 상황은 미국과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은 물가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미국 정도는 아니다"며 "반드시 미국과의 금리차만을 염두에 두고 정책을 하는 것보다 성장과 물가를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생기면 여러 가지 대체할 상황들에 적응하는 게 낫지, 금리차를 막는 방향으로 정책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의 이런 발언이 알려진 뒤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7원20전 내린 1277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통상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은 원화 가치 올려 원·달러 환율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이 총재는 그러나 기준금리 5월 추가 인상에 대해서는 "아직 금통위원들과 상의 전이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이날 추 부총리와 취임 후 처음으로 조찬 회동을 가졌다. 두 사람은 회동에서 "최근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고조된 가운데 물가 상승 압력이 크게 확대되고, 성장 둔화 가능성도 함께 커졌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한은은 전했다.
추 부총리는 "현재 경제 상황이 엄중하고 정책 수단은 상당히 제약돼 있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도 중앙은행과 정부가 경제 상황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인식을 공유하고, 정말 좋은 정책 조합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최근 경제는 정부 부처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정책 공조를 해야 그나마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상황"이라며 "부총리와 한은 총재가 만나는 게 뉴스가 되지 않을 정도로 해야 한다는 부총리 말씀에 공감한다"고 화답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