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접속 안되고 매매 지연…코인거래소 사고 3년간 70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국내 암호화폐 하루평균 거래 규모는 11조원을 넘어서며 코스닥 시장과 맞먹을 만큼 불어났지만 정부 승인을 받은 대형 거래소마저 기본적인 투자자 보호에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거래소별로 보면 국내 거래 규모가 가장 큰 업비트가 23건, 빗썸이 21건이었고 고팍스 17건, 코인원 6건, 코빗 4건 순이었다. 이런 서비스 장애는 한 시간 넘게 지속되는 경우가 많았고 길게는 여섯 시간도 이어졌다.
소비자 피해 생겨도 보상은 미미
하지만 실제 이용자가 경험한 서비스 결함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업비트는 지난해 11월 알고랜드 코인 상장일에도 시세가 장중 100% 넘게 요동치면서 거래가 몰리자 매매 지연을 겪었지만 '서버 멈춤은 없었다'며 별도로 공지를 하지 않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암호화폐거래소들은 증권사처럼 고육지책으로 전화 등을 통해 주문을 할 수 있는 대체·비상수단도 없는 상태”라며 “만일 증권사에서 이런 사고가 반복됐다면 문을 닫아야 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유일하게 ‘신속보상처리’ 정책을 운영 중인 업비트는 일부 사고에 대해 보상을 했다고 밝혔지만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해 알고랜드 매도 지연으로 200만 원가량 손해를 봤다고 주장한 한 투자자는 “업비트에서 제안한 보상액이 10만원대에 불과했다”고 했다.
서버 다운돼도 거래소는 '셀프 면책'
이는 거래소들이 마련한 광범위한 면책 조항 때문이다. 거래소들은 접속 폭주로 인한 서버 다운, 주문 폭주, 외주 시스템 하자 등으로 회원이 손해를 봐도 거래소가 고의 또는 과실이 없거나 관리자의 주의를 다했다면 책임이 없다고 약관에 명시하고 있다.윤창현 의원은 “24시간 운용되는 거래소 특성상 접속 장애는 소비자 피해로 직결된다”며 “당국은 증권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수준의 피해보상 가이드라인을 권고하고, 각 거래소는 장애 지속시간과 발행유형별로 세분화된 소비자 보상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