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대행진 이어 5·18 재연 공연…"희생 잊지 않을 것"
"도청으로 나갑시다" 42년 전 그날로 돌아간 5·18 전야제
"광주 시민 여러분 도청을 향해 나와주십시오."
군사 독재에 맞서 분연히 일어났던 42년 전 5·18 민주화운동의 모습이 17일 전야제가 열린 광주 금남로에서 재현됐다.

광주 수창초등학교에서 옛 전남도청까지 약 1.5㎞ 일직선 구간을 행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에는 1천여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여했다.

대형 태극기를 앞세우고 깃발을 휘날리며 행진하는 시민들의 모습은 1980년 5월 항쟁 당시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계엄군이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옛 전남도청으로 향하는 모습과 똑 닮아 있었다.

다만 이들은 당시의 요구 사항이었던 '비상계엄 해제' 등을 외치는 것 대신 당면한 현안인 '5·18 완전한 진상규명' '5·18 헌법 전문 수록' 등을 촉구했다.

뿐만 아니라 세월호 시민상주모임 참가자들은 '진상 규명'을, 노동단체 참가자들은 '안전 사회 건설'을 요구하는 등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담겼다.

여기에는 국내에서 인권 등을 공부하는 세계 각국의 외국인 유학생들도 함께했다.

"도청으로 나갑시다" 42년 전 그날로 돌아간 5·18 전야제
행진이 진행될수록 주변에 있는 시민들이 가담하면서 행렬은 순식간에 2천여명으로 늘어나 금남로 거리를 가득 메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3년 만에 광주에서 규모가 가장 큰 행사가 됐다.

유모차 또는 어린 자녀들의 손을 잡고 나온 부부, 어머니와 팔짱을 끼고 가는 딸, 흰머리가 희끗희끗한 노부부 등 각기 다른 모습이었지만 5·18을 기억하고 추억하는 마음만은 하나였다.

"도청으로 나갑시다" 42년 전 그날로 돌아간 5·18 전야제
어린 두 딸과 함께 나온 진모(42) 씨는 "광주시민으로서 함께하는 것이 책임이자 의무라고 생각해서 이 자리에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은 아이들이 어려서 (5·18을)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커가면서 민주열사들이 어떻게 싸워왔는지 알아가길 바란다"며 "매년 자녀들과 함께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옛 전남도청까지 행진을 마친 시민들은 전일빌딩 앞에 마련된 무대를 바라보고 앉아 5·18 행사위가 준비한 공연을 관람했다.

5·18의 상징 곡인 '님을 위한 행진곡'을 아카펠라로 부르는 것으로 막을 연 공연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금남로에 모인 시민들을 42년 전 그날로 데려다 놨다.

5월 항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광주 시민들이 결집한 민족민주화성회를 재연하며 박관현 열사의 육성 목소리가 나오자 장내는 순식간에 숙연해졌다.

이어 주먹밥 나눔과 집단 발포, 최후항쟁 등 5·18의 요소요소를 보여주며 42년 전 그날을 기렸다.

무대는 2016년 9월부터 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을 위해 투쟁 중인 오월 어머니들이 이어받아 긴 세월 눈물로 투쟁한 세월을 노래로 승화한 합창을 선보이기도 했다.

"도청으로 나갑시다" 42년 전 그날로 돌아간 5·18 전야제
전야제에 참석한 인성고 김진렬(18) 군은 "여전히 인터넷에서 5·18에 대한 비하 발언이 떠도는데 전야제에 참석해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고 싶어서 나왔다"며 "42년 전 당시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어서 광주시민으로서, 민주 시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시민 김승찬(52) 씨 역시 "5월의 그 날이 다시 한번 느껴지는 것 같아 가슴이 뜨거워진다"며 "목숨 걸고 투쟁한 열사들의 희생을 잊지 않고 기억해 현재를 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