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기지개 펴는 E1…전기차 충전사업 진출 [기업 인사이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S그룹의 에너지 계열사로, 국내 대표 액화석유가스(LPG) 수입·유통업체인 E1이 전기자동차 충전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전국에 있는 E1 충전소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연계한 전기차 충전시설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LPG 유통사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사업구조를 벗어나 전기차 등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구동휘 E1 신성장사업부문 대표(사진 왼쪽)와 김부기 스탠다드에너지 대표는 18일 서울 용산구 E1 본사에서 ‘ESS 연계 초급속 전기차 충전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E1은 전국 LPG충전소에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고, 이를 스탠다드에너지의 바나듐 이온 배터리 기반 ESS와 연계해 미래차 충전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바나듐 이온 배터리는 스탠다드에너지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이다. 발화 위험이 없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 LPG충전소 내 전기차 충전용 ESS로 최적화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이번 협약 이행을 위한 관련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실증 특례를 추진하고 있다. 이후 E1 LPG충전소에 ESS를 연계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구동휘 E1 대표는 이날 협약식에서 “전기차 확대에 대응해 LPG 충전소 등을 활용한 전기차 충전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등 E1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E1의 이번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 선언은 그룹 내 시너지를 감안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LS그룹의 계열사인 LS일렉트릭은 2010년대 초반 전기차 충전기를 개발·생산했던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충전기 사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사업을 중단했으나 지정이 풀리며 작년부터 전기차 충전기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E1은 SK가스와 함께 국내에 LPG를 수입해 유통하는 양대 업체다. 국내 LPG 시장을 두 업체가 양분하고 있지만 실적은 나란히 하락하는 추세다. E1의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은 55억원으로, 2020년(395억원)과 2019년(1063억원)과 비교해 매년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5조1523억원으로 전년(3조9275억원) 대비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작년 영업이익률은 0.1%에 불과했다.
E1은 중동과 미국 등으로부터 프로판과 부탄 등 LPG를 들여온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인 아람코로부터 매월 통보받은 국제 LPG 가격(CP)을 기준으로 국내 공급가격을 정한다. 원·달러 환율과 해상운임도 국내 공급가격을 결정짓는 또 다른 요인이다.
업계에서는 두 회사가 LPG 시장을 양분하고 있지만, 가격을 쉽게 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매일 가격이 바뀌는 휘발유 경유와 달리 LPG는 한 달에 한 번 기준가격이 정해진다. 국제 가격이 가파르게 오를 때는 이를 국내 가격에 반영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의미다. 더욱이 LPG가 택시기사와 자영업자 등 서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서민 연료’라는 인식 때문에 공급가격도 섣불리 올리지 못하고 있다. 서민들이 체감하는 주유소 등의 LPG 가격은 치솟고 있지만, 수입가 상승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영업이익률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는 뜻이다. E1이 LPG 유통사업에서 벗어나 전기·수소차, 해상풍력 등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분주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E1의 신성장 동력은 1982년생인 구동휘 신성장사업부문 대표(전무)가 주도하고 있다. 구 대표는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의 아들이다. E1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3월 처음으로 각자 대표이사를 맡은 후 올 2월부터 신성장 사업부문을 전담하고 있다. 부친인 구 회장은 E1 지분 12.8%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문제는 신성장 사업이 기대만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성장 동력 발굴 관련 마케팅·홍보 활동도 다른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이렇다보니 주주들의 실망감이 반영되면서 주가흐름도 지지부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E1은 지난 17일 주당 4만9800원에 장을 마쳤다. 주당 8만원대였던 10년 전 주가를 훨씬 밑돈다. 작년 9월 초(6만7700원)와 비교해도 하락했다.
E1 관계자는 “주요 신성장이 확실하게 성과를 낼 수 있는지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계”라며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을 때까지는 신중하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강경민 기자
이번 협약을 통해 E1은 전국 LPG충전소에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고, 이를 스탠다드에너지의 바나듐 이온 배터리 기반 ESS와 연계해 미래차 충전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바나듐 이온 배터리는 스탠다드에너지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이다. 발화 위험이 없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 LPG충전소 내 전기차 충전용 ESS로 최적화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이번 협약 이행을 위한 관련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실증 특례를 추진하고 있다. 이후 E1 LPG충전소에 ESS를 연계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구동휘 E1 대표는 이날 협약식에서 “전기차 확대에 대응해 LPG 충전소 등을 활용한 전기차 충전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등 E1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E1의 이번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 선언은 그룹 내 시너지를 감안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LS그룹의 계열사인 LS일렉트릭은 2010년대 초반 전기차 충전기를 개발·생산했던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충전기 사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사업을 중단했으나 지정이 풀리며 작년부터 전기차 충전기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E1은 SK가스와 함께 국내에 LPG를 수입해 유통하는 양대 업체다. 국내 LPG 시장을 두 업체가 양분하고 있지만 실적은 나란히 하락하는 추세다. E1의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은 55억원으로, 2020년(395억원)과 2019년(1063억원)과 비교해 매년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5조1523억원으로 전년(3조9275억원) 대비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작년 영업이익률은 0.1%에 불과했다.
E1은 중동과 미국 등으로부터 프로판과 부탄 등 LPG를 들여온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인 아람코로부터 매월 통보받은 국제 LPG 가격(CP)을 기준으로 국내 공급가격을 정한다. 원·달러 환율과 해상운임도 국내 공급가격을 결정짓는 또 다른 요인이다.
업계에서는 두 회사가 LPG 시장을 양분하고 있지만, 가격을 쉽게 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매일 가격이 바뀌는 휘발유 경유와 달리 LPG는 한 달에 한 번 기준가격이 정해진다. 국제 가격이 가파르게 오를 때는 이를 국내 가격에 반영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의미다. 더욱이 LPG가 택시기사와 자영업자 등 서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서민 연료’라는 인식 때문에 공급가격도 섣불리 올리지 못하고 있다. 서민들이 체감하는 주유소 등의 LPG 가격은 치솟고 있지만, 수입가 상승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영업이익률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는 뜻이다. E1이 LPG 유통사업에서 벗어나 전기·수소차, 해상풍력 등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분주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E1의 신성장 동력은 1982년생인 구동휘 신성장사업부문 대표(전무)가 주도하고 있다. 구 대표는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의 아들이다. E1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3월 처음으로 각자 대표이사를 맡은 후 올 2월부터 신성장 사업부문을 전담하고 있다. 부친인 구 회장은 E1 지분 12.8%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문제는 신성장 사업이 기대만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성장 동력 발굴 관련 마케팅·홍보 활동도 다른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이렇다보니 주주들의 실망감이 반영되면서 주가흐름도 지지부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E1은 지난 17일 주당 4만9800원에 장을 마쳤다. 주당 8만원대였던 10년 전 주가를 훨씬 밑돈다. 작년 9월 초(6만7700원)와 비교해도 하락했다.
E1 관계자는 “주요 신성장이 확실하게 성과를 낼 수 있는지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계”라며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을 때까지는 신중하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