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전망 3.0%→2.8%…물가상승률 1.7%→4.2%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외여건 악화·투자 부진에도 민간소비 반등에 회복세 유지 전망
물가, 14년만에 최고치 예상…"2·3분기 정점, 4분기부터 내려가 내년 2.2%"
'공급망·중국 경기·미국 금리인상' 변수…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2%대 후반으로 내렸다.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국제유가 급등세 등을 고려해 4%대 초반으로 대폭 올렸다.
다만 물가 상승세가 올해 하반기부터 진정돼 내년에는 2%대 초반으로 내려갈 것으로 봤다.
KDI는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원자재 수급 불안 장기화와 중국 경기 급락,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속화 등이 회복세를 제약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KDI, 올해 성장률 2.8% 전망…내년엔 수출 둔화로 2.3%
KDI는 18일 '2022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한 3.0%에서 소폭 낮춘 수치다.
KDI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2.5%보다는 높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아시아개발은행(ADB)의 3.0%보다는 낮다.
정부(3.1%)와 한국은행(3.0%)보다도 낮은데, 한은은 오는 26일 수정 경제전망을 내놓을 예정인데 하향 조정 가능성이 크다.
KDI는 지난해 11월 전망할 때보다 1분기 민간소비가 부진했던 점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주요국 금리 인상,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 등을 고려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고 밝혔다.
다만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내수 둔화에도 수출이 개선되면서 완만한 경기 회복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남은 기간에는 설비투자가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건설투자도 비용 상승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겠지만, 민간소비가 방역 조치 해제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재정 지원 효과로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반등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2차 추경은 올해 성장률을 0.4%포인트 끌어올린다는 추산도 내놨다.
내년에도 민간소비의 견실한 회복세는 유지되겠으나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면서 연간 성장률이 2.3%로 올해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 올해 물가 4.2% 상승 전망…"4분기부터는 상승률 하락"
KDI는 올해 물가 상승률을 4.2%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했던 1.7%에서 대폭 상향 조정한 수치로, 국내외 대부분 기관 전망치를 웃돈다.
KDI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해 말 전망을 한 정부(2.2%), OECD(2.1%)와 올해 2월 전망치를 제시한 한은(3.1%)은 물론 비교적 최근인 올해 4월 전망치를 수정한 IMF(4.0%), ADB(3.2%)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물가 상승률 4.2%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4.7% 이후 14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의미한다.
KDI는 올해 원유 도입단가(두바이유 기준)를 배럴당 105달러로 전망했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경기 둔화로 수출·투자 여건은 악화하는데 유가 급등 등으로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물가 상승 압력이 상당하다는 게 KDI의 분석이다.
여기에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까지 고려해 올해 물가 상승률을 4.2%로 전망했다는 것이다.
2차 추경은 물가 상승률에 0.16%포인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허진욱 KDI 전망총괄은 "추경 중 지방 교부세와 교부금을 제외하면 대부분 소상공인 쪽으로 지출되는데,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소상공인들이 직접적인 최종 지출보다는 부채 상환 등에 (지원금을) 활용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물가에 대한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KDI는 내년에는 원유 도입단가가 92달러 정도로 소폭 하락해 국제유가 안정으로 물가 상승세가 완만해져 연간 2.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올해 2∼3분기에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4분기부터는 조금 내려가 내년 하반기 정도에는 물가 안정 목표인 2% 근방으로 내려갈 것"이라며 "이렇게 되려면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는 통화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 '공급망·중국 경기·미 금리인상' 위험요인 지목
KDI는 올해 수출입 물량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유가 등 교역조건이 악화해 경상수지 흑자 폭이 지난해 759억달러에서 크게 축소된 516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는 교역조건이 개선되지만 서비스 수입이 많이 증가해 경상수지 흑자 폭은 소폭 늘어 602억달러가 될 것으로 봤다.
취업자 수는 올해 대면서비스업 회복으로 60만명 정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내년에는 양호한 고용 여건이 유지되지만, 기저효과가 있어 증가 폭이 12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판단했다.
KDI는 전반적으로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회복세를 제약할 위험요인이 있다고 밝혔다.
KDI는 "원자재 수급 불안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장기화하거나 중국 경기가 급락하는 경우, 수출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지속되면 수출·투자 제약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위축될 수 있고 중국이 코로나19 확산 지역을 봉쇄하는 극단적 방역 정책을 지속하면 수요 감소와 중간재 수급 차질로 수출 둔화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KDI는 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하고 경제 기초여건이 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제약될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세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높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되는 가운데 KDI의 지적처럼 각종 위험요인이 현실화해 경기 회복세가 타격을 받는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덮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연합뉴스
물가, 14년만에 최고치 예상…"2·3분기 정점, 4분기부터 내려가 내년 2.2%"
'공급망·중국 경기·미국 금리인상' 변수…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2%대 후반으로 내렸다.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국제유가 급등세 등을 고려해 4%대 초반으로 대폭 올렸다.
다만 물가 상승세가 올해 하반기부터 진정돼 내년에는 2%대 초반으로 내려갈 것으로 봤다.
KDI는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원자재 수급 불안 장기화와 중국 경기 급락,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속화 등이 회복세를 제약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KDI, 올해 성장률 2.8% 전망…내년엔 수출 둔화로 2.3%
KDI는 18일 '2022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한 3.0%에서 소폭 낮춘 수치다.
KDI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2.5%보다는 높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아시아개발은행(ADB)의 3.0%보다는 낮다.
정부(3.1%)와 한국은행(3.0%)보다도 낮은데, 한은은 오는 26일 수정 경제전망을 내놓을 예정인데 하향 조정 가능성이 크다.
KDI는 지난해 11월 전망할 때보다 1분기 민간소비가 부진했던 점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주요국 금리 인상,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 등을 고려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고 밝혔다.
다만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내수 둔화에도 수출이 개선되면서 완만한 경기 회복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남은 기간에는 설비투자가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건설투자도 비용 상승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겠지만, 민간소비가 방역 조치 해제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재정 지원 효과로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반등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2차 추경은 올해 성장률을 0.4%포인트 끌어올린다는 추산도 내놨다.
내년에도 민간소비의 견실한 회복세는 유지되겠으나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면서 연간 성장률이 2.3%로 올해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 올해 물가 4.2% 상승 전망…"4분기부터는 상승률 하락"
KDI는 올해 물가 상승률을 4.2%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했던 1.7%에서 대폭 상향 조정한 수치로, 국내외 대부분 기관 전망치를 웃돈다.
KDI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해 말 전망을 한 정부(2.2%), OECD(2.1%)와 올해 2월 전망치를 제시한 한은(3.1%)은 물론 비교적 최근인 올해 4월 전망치를 수정한 IMF(4.0%), ADB(3.2%)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물가 상승률 4.2%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4.7% 이후 14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의미한다.
KDI는 올해 원유 도입단가(두바이유 기준)를 배럴당 105달러로 전망했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경기 둔화로 수출·투자 여건은 악화하는데 유가 급등 등으로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물가 상승 압력이 상당하다는 게 KDI의 분석이다.
여기에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까지 고려해 올해 물가 상승률을 4.2%로 전망했다는 것이다.
2차 추경은 물가 상승률에 0.16%포인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허진욱 KDI 전망총괄은 "추경 중 지방 교부세와 교부금을 제외하면 대부분 소상공인 쪽으로 지출되는데,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소상공인들이 직접적인 최종 지출보다는 부채 상환 등에 (지원금을) 활용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물가에 대한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KDI는 내년에는 원유 도입단가가 92달러 정도로 소폭 하락해 국제유가 안정으로 물가 상승세가 완만해져 연간 2.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올해 2∼3분기에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4분기부터는 조금 내려가 내년 하반기 정도에는 물가 안정 목표인 2% 근방으로 내려갈 것"이라며 "이렇게 되려면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는 통화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 '공급망·중국 경기·미 금리인상' 위험요인 지목
KDI는 올해 수출입 물량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유가 등 교역조건이 악화해 경상수지 흑자 폭이 지난해 759억달러에서 크게 축소된 516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는 교역조건이 개선되지만 서비스 수입이 많이 증가해 경상수지 흑자 폭은 소폭 늘어 602억달러가 될 것으로 봤다.
취업자 수는 올해 대면서비스업 회복으로 60만명 정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내년에는 양호한 고용 여건이 유지되지만, 기저효과가 있어 증가 폭이 12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판단했다.
KDI는 전반적으로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회복세를 제약할 위험요인이 있다고 밝혔다.
KDI는 "원자재 수급 불안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장기화하거나 중국 경기가 급락하는 경우, 수출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지속되면 수출·투자 제약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위축될 수 있고 중국이 코로나19 확산 지역을 봉쇄하는 극단적 방역 정책을 지속하면 수요 감소와 중간재 수급 차질로 수출 둔화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KDI는 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하고 경제 기초여건이 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제약될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세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높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되는 가운데 KDI의 지적처럼 각종 위험요인이 현실화해 경기 회복세가 타격을 받는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덮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