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한국서 의사과학자 안나오는 까닭
요즘 바이오업계의 관심사 중 하나는 ‘의사과학자’다. 의학과 공학 지식을 겸비한 인재 양성 목소리가 커지면서다. 의사과학자 없이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미래 의료에서 K바이오의 설 자리가 없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의료계와 과학계가 손을 잡았다. 올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AIST·포스텍 등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서울대·전남대·경북대 의대 등 의료계가 모여 민관협의체까지 만들었다. 의사과학자가 되겠다고 지망하는 의대생이 없는 현실에서 해법을 찾아보자는 취지다.

보건복지부도 3년 전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내놓으면서 의사과학자 양성 방안을 제시했다. 의대 정원을 늘리고 이 중 일부를 의사과학자로 키우겠다고 했다.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로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오고 있는 미국을 벤치마킹하겠다는 것이다. 미국 정부는 매년 1조원을 투입해 의대생, 전공의 등에게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의대 신설이 해법 될까

KAIST와 포스텍이 의대 설립을 추진하고 나선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KAIST는 2006년 의과학대학원을 세웠고 포스텍은 내년부터 의과학대학원 신입생을 받는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학부생부터 체계적인 의사과학자 교육을 하겠다는 것이다.

현실은 녹록지 않다. 당장 의대생들의 정원 확대 반대가 거세다. 개원가도 마찬가지다. 한 해 3000명 안팎인 의대 정원이 늘면 잠재적 경쟁자가 많아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낮은 의료 수가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동네 병의원 입장에서 의대 정원 확대는 날벼락일 수밖에 없다.

또 다른 논란은 편법적인 의대 신설 아니냐는 점이다. KAIST 의대나 포스텍 의대를 나온 의사가 환자 진료를 하겠다고 나서면 이를 막을 방법이 마땅찮기 때문이다. 의사 면허가 있는데 진료를 막을 방법은 없다. 더군다나 이들이 연구기관 또는 바이오 기업에서 연구개발(R&D)만 하도록 강제하기도 어렵다. 정부 예산까지 투입해 인재로 키웠더라도 직업의 자유를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 자칫 ‘진료 의사’만 양산하게 될지도 모른다.

인재 육성도 시장에 맡겨야

의사과학자가 나오기 어려운 현실적 한계도 걸림돌이다. 국내 대학병원에서 환자 진료를 하는 임상의사 연봉은 2억~3억원 수준이다. 반면 연구교수 연봉은 이들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10억원짜리 국가연구용역과제를 따더라도 연구교수가 1년에 받는 연구비는 고작 2000만원 안팎이다. 미국은 정반대다. 의대교수가 창업을 하거나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옮기면 몸값이 서너 배는 뛴다. 미국 의사 한 사람이 회사 서너 개를 창업한 사례가 흔한 이유다. 진료만 보는 것보다 창업이나 연구개발하는 게 부를 축적하는 더 좋은 수단이어서다. 결국 시장 논리가 미국 바이오 인재를 키운 셈이다.

우리도 의사과학자 육성을 시장에 맡겨두면 어떨까. 병원은 영리활동을 하지 못한다는 의료법만 고쳐도 당장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 대학병원들이 교수 창업을 지원하고 그 과실을 따먹을 수 있게 된다면 환자 진료로 돈벌이하는 관행이 점차 사라질 것이다. 300곳 가까운 의사 창업이 이뤄진 미국 메이요클리닉이 한국에서도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없다. 메이요클리닉은 의료진의 연구개발 성과물을 기술이전해 1조원 넘는 수익을 거뒀다. 그만큼 바이오 생태계를 떠받치는 동력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 ‘의사과학자 1000명 양성’ 같은 구호만으로는 K바이오의 미래를 담보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