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커지는데…은행 1분기 대손충당금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096억…직전 분기의 반토막
코로나 대출 만기연장 종료 땐
부실 대출 급격히 늘어날 수도
코로나 대출 만기연장 종료 땐
부실 대출 급격히 늘어날 수도
은행들의 올 1분기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전 분기 대비 반 토막 났다. 대손충당금은 미래에 발생할 손실에 쓰기 위해 미리 쌓아두는 자금이다. 오는 9월 코로나19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 종료 이후 대출 부실이 심화되면 은행들의 건전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1분기 적립한 충당금 전입액은 3096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6390억원)보다 51.5% 급감했다. 5대 은행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인 2020년 2분기엔 1조671억원에 달하는 충당금을 쌓았다.
5대 은행의 1분기 말 평균 부실채권(NPL) 비율은 아직은 낮은 수준이다. NPL은 총대출 중 3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은행별 NPL 비율은 국민은행이 0.20%로 가장 낮고 농협(0.23%) 하나(0.24%) 우리(0.28%) 신한(0.26%) 순이다. 은행들이 부실 대출을 털어내기 위해 충당금을 활용할 수 있는 비율(NPL 커버리지 비율)도 평균 200%를 웃돈다.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대출 연체가 발생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高) 여파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은행권이 건전성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작된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가 끝나는 오는 10월부터는 부실 대출이 급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20년 4월부터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를 받은 대출 원리금은 291조원에 이른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3일 시중은행장 간담회에서 “은행들이 잠재 신용위험을 보수적으로 평가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규제 대책과 맞물려 은행권이 기업대출을 늘린 점도 위험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1분기 말 4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총액은 572조3949억원으로 전년보다 11.7%(59조84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잔액은 570조2628억원으로 작년 대비 3.5%(19조2661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계대출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규제 강화 여파로 증가세가 주춤한 반면 기업대출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 지원 등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1분기 적립한 충당금 전입액은 3096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6390억원)보다 51.5% 급감했다. 5대 은행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인 2020년 2분기엔 1조671억원에 달하는 충당금을 쌓았다.
5대 은행의 1분기 말 평균 부실채권(NPL) 비율은 아직은 낮은 수준이다. NPL은 총대출 중 3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은행별 NPL 비율은 국민은행이 0.20%로 가장 낮고 농협(0.23%) 하나(0.24%) 우리(0.28%) 신한(0.26%) 순이다. 은행들이 부실 대출을 털어내기 위해 충당금을 활용할 수 있는 비율(NPL 커버리지 비율)도 평균 200%를 웃돈다.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대출 연체가 발생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高) 여파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은행권이 건전성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작된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가 끝나는 오는 10월부터는 부실 대출이 급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20년 4월부터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를 받은 대출 원리금은 291조원에 이른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3일 시중은행장 간담회에서 “은행들이 잠재 신용위험을 보수적으로 평가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규제 대책과 맞물려 은행권이 기업대출을 늘린 점도 위험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1분기 말 4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총액은 572조3949억원으로 전년보다 11.7%(59조84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잔액은 570조2628억원으로 작년 대비 3.5%(19조2661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계대출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규제 강화 여파로 증가세가 주춤한 반면 기업대출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 지원 등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