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루나 폭락 후폭풍…'스테이블 1위' 테더도 흔들, 1주일 새 12.7조 이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산 암호화폐 ‘루나’와 스테이블코인 ‘테라’가 몰락하자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규모 1위인 테더도 균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1주일간 테더에서 100억달러(약 12조7000억원)가 인출됐다.
18일 오후 2시30분 기준 가상자산 정보업체인 코인게코에 따르면 테더 시가총액은 741억7000만달러(약 94조1300억원)다. 1주일 전인 지난 11일 시가총액 841억5000만달러(약 106조7700억원)와 비교하면 100억달러 가까이 증발했다. 테더의 시가총액 규모는 스테이블코인에선 1위다. 암호화폐 시장 전체로 봐도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어 3위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같은 법정통화에 가격을 묶어놓고 이 가격 밑으로 가치가 떨어지면 담보를 내놓는다. 테라가 연동(페그)했던 1달러 밑으로 가치가 떨어지면 또 다른 암호화폐인 루나를 대안으로 지급한 것과 달리 테더는 미리 준비해 둔 현금자산을 담보로 활용한다. 암호화폐끼리 묶어놓은 바람에 연쇄 가격 하락이 발생한 테라에 비해 테더가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받았던 이유다.
하지만 테라의 페그가 무너지면서 테더 가격은 12일 95센트 밑까지 하락했다. 1달러 아래로 가격이 떨어지자 투자자들이 코인 대신 달러를 가져가면서 준비금이 유출됐다. 테더는 지난해 말 기준 현금 42억달러, 미국 재무부 국채 345억달러, 상업어음 242억달러 등을 준비금으로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18일 오후 2시30분 기준 가상자산 정보업체인 코인게코에 따르면 테더 시가총액은 741억7000만달러(약 94조1300억원)다. 1주일 전인 지난 11일 시가총액 841억5000만달러(약 106조7700억원)와 비교하면 100억달러 가까이 증발했다. 테더의 시가총액 규모는 스테이블코인에선 1위다. 암호화폐 시장 전체로 봐도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어 3위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같은 법정통화에 가격을 묶어놓고 이 가격 밑으로 가치가 떨어지면 담보를 내놓는다. 테라가 연동(페그)했던 1달러 밑으로 가치가 떨어지면 또 다른 암호화폐인 루나를 대안으로 지급한 것과 달리 테더는 미리 준비해 둔 현금자산을 담보로 활용한다. 암호화폐끼리 묶어놓은 바람에 연쇄 가격 하락이 발생한 테라에 비해 테더가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받았던 이유다.
하지만 테라의 페그가 무너지면서 테더 가격은 12일 95센트 밑까지 하락했다. 1달러 아래로 가격이 떨어지자 투자자들이 코인 대신 달러를 가져가면서 준비금이 유출됐다. 테더는 지난해 말 기준 현금 42억달러, 미국 재무부 국채 345억달러, 상업어음 242억달러 등을 준비금으로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