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개 순찰·AI CCTV…안전 지키는 신기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미래포럼
현대차 스폿, 광양제철소 투입
가스·냉각수 새는지 점검
40분 순찰 돌고 알아서 충전
KT는 AI로 CCTV 자동관리
현대차 스폿, 광양제철소 투입
가스·냉각수 새는지 점검
40분 순찰 돌고 알아서 충전
KT는 AI로 CCTV 자동관리
현대자동차가 투자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개 스폿의 새로운 직장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1고로다. 사람이 살펴봐야 하던 44개 송풍구의 상태와 가스 누출, 냉각수 누수 등을 파악하는 것이 스폿의 역할이다. 스폿은 40분의 점검을 마친 뒤 충전 스테이션으로 자동으로 걸어가 배터리를 충전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은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
스폿의 사례는 로봇의 역할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포스코는 스폿 활용에 대한 기술검증(PoC)의 마무리 단계를 진행 중이다. 효용성이 입증되면 스폿을 더 다양한 곳에 투입할 계획이다.
김기수 포스코 저탄소공정연구소장은 지난 18일 AI미래포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주최로 열린 ‘산업 안전을 위한 디지털 혁신-중대재해처벌법, AI로 돌파한다’ 웨비나에서 스폿의 활용을 안전관리 사례로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선 로봇, 메타버스,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도입해 산업 현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김 전무는 “아무리 좋은 솔루션이라도 작업현장에서 이용하기 불편하면 쓰지 않는다”며 “안전 이슈 역시 현장에 답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이 이 로봇을 수동으로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면 현장에서 이용하기 어렵다”며 “이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스폿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영식 KT DX플랫폼사업본부장은 “건설 현장의 CCTV 중 20~30%는 늘 고장이 나 있다”며 “그런데 고장이 났는지를 현장에선 모른다”고 말했다. 단순히 카메라만 현장에 설치한다고 안전관리가 이뤄지는 게 아니라는 지적이다. 자주 고장이 나는 CCTV 역시 AI로 해결할 수 있다. 영상에 AI 기술을 접목한 KT의 ‘비전 AI’는 CCTV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체크하고, 작업자의 행동을 인식해 안전센터에 알람을 보내준다.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작업 중 쓰러진 사람이 있는지도 파악한다. 누군가가 CCTV를 들여다볼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강중규 대우조선해양 산업기술연구소장은 드론의 유용성을 강조했다. 그는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조선소 중 드론을 제일 많이 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은 드론으로 조선소 야드 상공에서 어떤 종류의 강재가 어디에 적재돼 있는지 파악한다. 지금은 오전과 오후 드론을 통해 야드를 찍어 이를 작업자에게 공유하지만, 앞으로는 실시간으로 현장을 살필 계획이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스폿의 사례는 로봇의 역할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포스코는 스폿 활용에 대한 기술검증(PoC)의 마무리 단계를 진행 중이다. 효용성이 입증되면 스폿을 더 다양한 곳에 투입할 계획이다.
김기수 포스코 저탄소공정연구소장은 지난 18일 AI미래포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주최로 열린 ‘산업 안전을 위한 디지털 혁신-중대재해처벌법, AI로 돌파한다’ 웨비나에서 스폿의 활용을 안전관리 사례로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선 로봇, 메타버스,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도입해 산업 현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김 전무는 “아무리 좋은 솔루션이라도 작업현장에서 이용하기 불편하면 쓰지 않는다”며 “안전 이슈 역시 현장에 답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이 이 로봇을 수동으로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면 현장에서 이용하기 어렵다”며 “이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스폿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영식 KT DX플랫폼사업본부장은 “건설 현장의 CCTV 중 20~30%는 늘 고장이 나 있다”며 “그런데 고장이 났는지를 현장에선 모른다”고 말했다. 단순히 카메라만 현장에 설치한다고 안전관리가 이뤄지는 게 아니라는 지적이다. 자주 고장이 나는 CCTV 역시 AI로 해결할 수 있다. 영상에 AI 기술을 접목한 KT의 ‘비전 AI’는 CCTV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체크하고, 작업자의 행동을 인식해 안전센터에 알람을 보내준다.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작업 중 쓰러진 사람이 있는지도 파악한다. 누군가가 CCTV를 들여다볼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강중규 대우조선해양 산업기술연구소장은 드론의 유용성을 강조했다. 그는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조선소 중 드론을 제일 많이 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은 드론으로 조선소 야드 상공에서 어떤 종류의 강재가 어디에 적재돼 있는지 파악한다. 지금은 오전과 오후 드론을 통해 야드를 찍어 이를 작업자에게 공유하지만, 앞으로는 실시간으로 현장을 살필 계획이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