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에서 귀청소를 하는 다비치 강민경 /사진=강민경 유튜브
이비인후과에서 귀청소를 하는 다비치 강민경 /사진=강민경 유튜브
"귀에서 자꾸 바스락 거리는데 귀지를 파야 할까요?"

어릴 적 부모의 무릎을 베고 쇠로 된 작은 귀이개로 귀를 팠던 추억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귓속의 귀지를 빼내면 남모를 쾌감이 들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귀 청소는 딱히 필요하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귀지가 아예 없어질 정도로 청소해서는 안 되며, 그러려고 시도하다가 오히려 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외이도는 귀의 입구에서부터 고막에 이르는 터널과 같은 관이다. 안쪽은 피부로 덮여 있으며 털, 피지선, 이도선이 자리하고 있다. 외이도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골성 외이도는 털이나 분비선이 없는 반면, 바깥쪽 연골성 외이도는 털과 이도선이 존재한다.

이도선은 땀샘이 변형된 것으로 끈적하고 갈색에 가까운 노란색 분비물인 귀지를 만들어 낸다. 귀지는 지방, 부서진 세포의 조각, 색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일종의 때로, 털과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서양인은 주로 말랑말랑하며 액취가 나는 습형 귀지가 생기며, 동양인은 딱딱하고 건조한 건형 귀지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따르면 귀지는 외이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인위적으로 제거할 필요는 없다. 귀 안에 쌓인 귀지는 음식을 씹을 때 턱이 움직이는 등의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본의 한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한 여성의 귓속을 5개월간 관찰해 오래된 고막의 피부가 귀 바깥쪽으로 천천히 움직이는 모습을 촬영했다. 이 영상을 통해 고막의 피부가 귀 입구 부근에서 벗겨지면서 귀지가 되어 저절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귀를 파다가 귀지가 더욱 안쪽으로 들어가 버리거나, 외이도를 보호하지 못해 항균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고 강조한다.

"귀지, 기본적으로 파면 안 돼"…'이어 캔들링' 효과 없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런 '자가 청소' 기능이 안 돼 귀지가 귓구멍을 막아 버리는 경우는 어린이의 경우 10명 중 1명, 어른은 20명 중 1명꼴이며 이런 경우 의사의 진료가 필요하다.

또 질적으로 귀지가 많을 경우 덩어리가 되어 외이도를 막는 '귀지 색전'이 발생하기 쉬운데, 청력 감소, 이물감, 이폐색감 소양감을 일으키며 귓속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귀지를 제거해야 한다.

귀에 양초 한쪽을 꽂은 후 다른 쪽에 불을 붙여서 귓속의 이물질이나 독소를 녹인다는 '이어 핸들링'(ear candling)은 효과가 있을까. 미국 이비인후과학회는 이어캔들링을 했을 때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이물질은 실제로는 원래 귓속에 있던 것이 아니라 양초가 타고 녹으면서 생기는 것이라며 해당 방식을 추천하지 않았다.

이상훈 코모키이비인후과 원장은 의학채널 '비온뒤'를 통해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 병원에 와서 귀지가 파면 된다. 집에서 파다가는 다친다. 기본적으로 파지 않는데, 바스락 소리가 난다는 것은 원래 귀지가 있어야 할 위치보다 안으로 들어갔다는 것"이라며 "혼자서 귀지를 파면 안 되는 이유다. 이비인후과에 가서 귀 청소를 해달라고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