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F 참여는 '安美經世'의 시작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ews +
IPEF가 尹정부에 던진 과제
文정부 '안미경중' 탈피…美주도 글로벌 동맹과 '한배'
'최대교역국' 中은 강력 반발…갈등 최소화 전략 필요
IPEF가 尹정부에 던진 과제
文정부 '안미경중' 탈피…美주도 글로벌 동맹과 '한배'
'최대교역국' 中은 강력 반발…갈등 최소화 전략 필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자 관계 설정이 다시 이뤄지고 있다. 후보 시절부터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 등 미국 기조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던진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일본보다 먼저 한국을 찾았다. 양국은 군사·안보는 물론이고 경제·기술까지 포괄하는 글로벌 전략동맹으로 관계를 격상시켰다.
ADVERTISEMENT
중국은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왕이 중국 외교장관은 IPEF에 대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를 미국 패권주의의 앞잡이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당장 보복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중국이 주도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도 참여하고 있어서다.
하지만 갈등이 고조되면 언제든 ‘제2의 사드 보복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2016년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로 중국 정부는 한국 콘텐츠 등을 금지하는 ‘한한령(限韓令)’을 내렸다.
ADVERTISEMENT
윤 대통령은 이날 IPEF 출범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IPEF는 역내 국가의 공동 번영을 위한 것”이라며 “한국도 굳건한 연대를 바탕으로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는 ‘안보는 미국과, 경제는 세계와 더불어’라는 ‘안미경세(安美經世)’를 지향한다. 그러나 방향을 한 곳으로 정하고 밀어붙이기엔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경제적 지형이 결코 단순하지 않다. IPEF 가입과 동시에 중국과의 갈등을 어떻게 현명하게 풀어나갈지, 윤석열 정부는 새로운 과제를 떠안게 됐다.
서욱진 국제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