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 가도 좋다"…수백억 들여 교육한 삼성, 파격 발언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쟁사에 가도 좋다. 국가적으로 부족한 소프트웨어 인재가 되라.”
삼성전자가 운영 중인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는 회사 입장에서 수지타산이 맞는 사업이 아니다. 만 29세 청년을 대상으로 무료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는 데 드는 비용만 매년 수백억원이다. 고용노동부가 SSAFY의 지역 캠퍼스에 일부 지원을 보태주고 있지만, 전체 운영비엔 턱없이 모자르다. 삼성전자는 개발 능력 함양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SSAFY 입학생에게 1인당 월 100만원의 ‘용돈’도 준다. 1년간 2300여 명의 교육생이 받는 돈만 276억원이다. 이렇게 교육받은 인재들이 경쟁사인 LG전자 등에 입사하기도 한다는 점을 따져보면 미래 경쟁력 측면에서도 마이너스다.
IT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 금융권, 소프트웨어 기술력에 승부를 건 자동차 업계 등 양질의 소프트웨어 인재 구하기는 IT 업계뿐 아니라 수많은 기업이 채용 과정에서 1순위로 삼는 목표다. 글로벌 기업과 경쟁해야 하는 현대자동차 등에겐 미래 사업의 사활이 걸린 영역이기도 하다.
이곳에선 강사 대신 ‘컨설턴트’, 강의 대신 ‘팀 미팅’이라는 용어를 쓴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기존 강의 방식으로는 산업 현장에 필요한 인재를 길러낼 수 없다는 취지에서다. 24일 SSAFY 서울 역삼캠퍼스에서 만난 한기철 컨설턴트는 “현업에서 일하는 것처럼 팀을 이뤄 과제를 수행하는 교육이 핵심”이라며 “컴퓨터공학 전공자보다 비전공생 비중이 훨씬 높다”고 말했다. SSAFY는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어 입학하기 위한 스터디, 학원이 생길 정도로 인기가 높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기업이 원하는 소프트웨어 능력을 길러낼 수 있는 주요 대학은 ‘제로(0)’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며 “대기업이 청년 채용뿐 아니라 청년 인재를 길러내는 사회적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스타트업, 소규모 사업장이 청년 고용의 주된 통로라는 기존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설립 10년 이상의 300인 이상 기업의 청년 고용이 더 많다. 전현배 서강대 교수가 기업 규모별 청년 고용을 조사한 결과, 2015~2019년 1~9인 기업의 30세 미만 청년 근로자 비중은 18.0%, 300인 이상 기업에선 26.2%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될수록 청년 고용 숫자가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삼성전자가 운영 중인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는 회사 입장에서 수지타산이 맞는 사업이 아니다. 만 29세 청년을 대상으로 무료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는 데 드는 비용만 매년 수백억원이다. 고용노동부가 SSAFY의 지역 캠퍼스에 일부 지원을 보태주고 있지만, 전체 운영비엔 턱없이 모자르다. 삼성전자는 개발 능력 함양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SSAFY 입학생에게 1인당 월 100만원의 ‘용돈’도 준다. 1년간 2300여 명의 교육생이 받는 돈만 276억원이다. 이렇게 교육받은 인재들이 경쟁사인 LG전자 등에 입사하기도 한다는 점을 따져보면 미래 경쟁력 측면에서도 마이너스다.
SW 인력, 年 6000명 부족
하지만 국내 SW 인재가 앞으로 크게 모자랄 것이라는 전망을 놓고 보면 이같은 교육 프로그램은 산업계에 ‘단비’같은 존재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소프트웨어 신규 인력 수요는 35만3000명이지만, 공급은 32만4000명으로 연 평균 6000명 가량이 부족할 전망이다. SSAFY 입학생이 한 기수당 1150명임을 고려하면 하나의 교육시설에서 많은 인력이 배출되는 셈이다. SSAFY의 누적 입학생은 5100명. 취업률이 80%에 이르는 일종의 ‘SW 사관학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경쟁사에 가더라도 상관없다”며 “SSAFY는 취업 시장의 인력 미스매치를 해결하고 소프트웨어의 국가 경쟁력을 성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IT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 금융권, 소프트웨어 기술력에 승부를 건 자동차 업계 등 양질의 소프트웨어 인재 구하기는 IT 업계뿐 아니라 수많은 기업이 채용 과정에서 1순위로 삼는 목표다. 글로벌 기업과 경쟁해야 하는 현대자동차 등에겐 미래 사업의 사활이 걸린 영역이기도 하다.
이곳에선 강사 대신 ‘컨설턴트’, 강의 대신 ‘팀 미팅’이라는 용어를 쓴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기존 강의 방식으로는 산업 현장에 필요한 인재를 길러낼 수 없다는 취지에서다. 24일 SSAFY 서울 역삼캠퍼스에서 만난 한기철 컨설턴트는 “현업에서 일하는 것처럼 팀을 이뤄 과제를 수행하는 교육이 핵심”이라며 “컴퓨터공학 전공자보다 비전공생 비중이 훨씬 높다”고 말했다. SSAFY는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어 입학하기 위한 스터디, 학원이 생길 정도로 인기가 높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기업이 원하는 소프트웨어 능력을 길러낼 수 있는 주요 대학은 ‘제로(0)’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며 “대기업이 청년 채용뿐 아니라 청년 인재를 길러내는 사회적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현대차, 미래차 인재 육성
현대자동차도 청년 일자리를 만들고, 인재를 길러내는 ‘요람’ 역할을 한다. 현대차는 국내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미래 자동차 인재 프로그램(H-모빌리티클래스)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전기차로 자동차 산업이 전환하는 상황인 터라 엔진 등 내연기관 위주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나 미래차에 관심이 많은 다른 전공생들의 관심이 높다. 현대차는 2020년 7월부터 2년간 20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전기차, 배터리, 자율주행 등을 전문적으로 교육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동차 산업의 기틀을 닦기 위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SK와 LG그룹은 이같은 청년 교육 프로그램은 없지만, 청년 고용 자체를 늘리고 있다.스타트업, 소규모 사업장이 청년 고용의 주된 통로라는 기존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설립 10년 이상의 300인 이상 기업의 청년 고용이 더 많다. 전현배 서강대 교수가 기업 규모별 청년 고용을 조사한 결과, 2015~2019년 1~9인 기업의 30세 미만 청년 근로자 비중은 18.0%, 300인 이상 기업에선 26.2%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될수록 청년 고용 숫자가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