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유럽이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늘리겠다고 선언하자 전세계 태양광 업체와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대표적인 태양광 ETF '인베스코 솔라 ETF(TAN)'는 약 2주 사이(5월 12~24일) 19.39% 상승했다. 지난 12일 55.54달러였던 ETF 가격은 24일 66.31달러까지 상승했다.

유럽연합(EU)의 '리파워(REPower) EU' 성명서에 태양광 투자 계획 등이 담길 것이란 사실은 지난 12일께 알려졌다. 18일 발표된 성명서에는 유럽 전체 태양광 발전용량을 2025년까지 현재의 2배이상으로 늘리고, 2029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 의무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EU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소 건설에 약 1130억 유로를 투자하고,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2027년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했다. 태양광 소재, 부품, 발전 업체들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늘어날 것이란 예상에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전세계 태양광 시장은 중국과 미국이 양분하고 있는 상태다. TAN의 경우 인페이즈에너지, 솔라엣지 등 미국 태양광 업체들에 대한 투자비중이 높다.

인페이즈에너지는 가정용 태양광 발전소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인버터(태양열을 전기로 바꿔주는 소형기기)'를 생산하는 회사다. 시가총액 219억달러(약 27조7102억원)로 미국 태양광 '대장주'다. 솔라엣지 역시 태양관 인버터를 생산하는 회사로 시총은 137억달러(약17조3675억원)다. TAN은 협흠과기, 징코솔라 등 중국 태양광 업체들도 담고 있다.

'글로벌X 솔라 ETF(RAYS)'는 중국 업체의 비중이 높은 상품이다. 약 2주 사이 13.35% 상승했다. 중국 태양광 대장주인 융기실리콘자재와 중환반도체, 양광전력 등을 담고 있다. 융기실리콘자재는 웨이퍼·셀·모듈 생산부터 발전소 건설까지 태양광 전력 생산에 있어 모든 분야를 담당하는 종합업체다. 상하이 증시에 상장돼 있고, 시가총액이 75조원이 넘는다. 양광전력은 인버터 생산회사, 중환반도체는 태양광 업체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회사다. 인페이즈에너지, 솔라엣지도 담고 있다.

한국 주식시장에는 'SOL차이나태양광CSI'가 유일하게 태양광 테마ETF로 상장돼 있다. 지난 12일부터 25일까지 8.7% 상승했다. 전세계 태양광 업체 50종목에 분산투자한다. 다만 '차이나'라는 이름처럼 중국 업체들의 비중이 높다. 융기실리콘자재, 양광전력, 통위, 중환반도체, 선도지능장비 등을 담고있다.

태양광 전력 생산 설비에 대한 수요가 '반짝 수요'가 아닌만큼, 관련 ETF도 중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현재 160GW 수준인 유럽 태양광 발전용량을 고려할 때 2025년까지 2배라는 목표를 맞추려면 연평균 40~50GW의 신규발전용량이 필요하다"며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산업에 주목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