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신항의 모습. 한경DB
부산 신항의 모습. 한경DB
해양수산부가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물류 트렌드, 자동화 등 기술 발전을 반영한 중장기 항만 개발 계획을 새로 짠다.

해수부는 지난 2019년 수립한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을 재정비하기 위해 연구용역 등에 착수한다고 31일 발표했다. 연구용역을 통해 총 12개 신항만의 현황과 개발사업 진행상황, 신항만별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중장기 개발계획을 새로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늘어나는 항만 수요에 대응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1996년 '신항만건설촉진법'을 제정했다. 1997년 부산항 신항, 인천신항 등 6개 항만을 신항만으로 지정한 후 현재까지 2차례에 걸친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을 수립해 총 12개 신항만을 지정해 개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총 33조원을 투입해 부두 156선석을 추가로 확충해 4억8000만t의 물동량과 2092만TEU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능력을 확보했다. 부산항 신항은 연간 1500만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항만적체 등 공급망 혼란, 선박의 대형화와 함께 자동화 항만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2019년 수립한 기존의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으로는 항만 경쟁력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제기가 정부 안팎에서 이어져왔다.

해수부는 새롭게 정비될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최근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과해 개발에 착수하는 부산항 진해 신항 사업과 광양항 완전자동화항만 구축사업의 진행 상황을 반영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항만별 기능조정, 자동화 항만 추가 도입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해수부는 타당성 검토 결과와 지역별 의견 수렴 결과 등을 바탕으로 내년 하반기 중 기본계획 변경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그리고 2024년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수정계획‘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자동화 항만과 관련된 지원 방안 등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김규섭 해양수산부 항만개발과장은 "신항만은 우리나라 전체 물동량 중 85%의 물동량을 처리하는 거점 항만이"이라며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재검토를 통해 우리 항만과 해운 물류산업, 항만과 관련된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