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설마가 현실 됐다" 불안…큰 동요 없지만, 사태 예의주시
시민단체 "타워 없이 수익만 챙겨…상인 직원 볼모 더는 안 돼"
롯데백화점 부산 광복점 영업 중단, 원도심 상권회복 악재 되나
부산시가 31일 롯데백화점 부산 광복점과 아쿠아몰, 엔터테인먼트동에 대한 임시사용 승인 기간을 추가 연장하지 않기로 하면서 지역 경제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산시의 이번 결정으로 6월 1일부터 롯데백화점 광복점 운영은 불법이 된다.

롯데 측은 임시사용 승인 연장 또는 불허로 인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6월 1일을 백화점 광복점 임시 정기휴무일로 정했다.

문제는 6월 2일부터도 백화점동 등 롯데타워 상업시설 전체 영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곳에 입점한 800여 개 점포는 백화점 등 영업 중단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고, 직원 3천여 명도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

롯데백화점 광복점 직원과 협력업체 직원 등은 현재까지 큰 동요는 없지만, 향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직원들은 "설마 했는데 (영업정지가) 현실로 될 줄은 몰랐다"며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롯데백화점 부산 광복점 영업 중단, 원도심 상권회복 악재 되나
이번 조치는 롯데백화점 광복점 주변 원도심 상권 회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항 재개발로 원도심 부동산 경기가 들썩거리고 사회적 거리두기 폐지 등으로 원도심 상권의 회복 분위기가 살아나는 상황에서 이번 돌발 사태가 찬물을 끼얹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문을 닫으면 유동 인구 감소로 자갈치시장과 광복로 상가, 남포동 지하상가 등에도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들은 이번 사태를 롯데 측의 책임으로 돌렸다.

부산경남미래정책은 이날 성명을 내고 "부산시가 롯데타워 백화점동의 임시사용승인 연장을 거부하라"고 요구했다.

부산경남미래정책은 "정보공개 청구로 입수한 롯데백화점 광복점 임시사용승인 연장승인 공문을 보면 시는 연장 때마다 '타워동 지상부 공사 조속 추진 요구'만 하는 등 미온적인 대처로 22년째(최초 건축허가 기준) '타워 없는 롯데타워'로 귀결됐다"고 지적했다.

부산경실련도 "롯데는 이제라도 지역사회 요구에 맞게 부산의 랜드마크가 될 롯데타워를 조속히 건설해야 한다"며 "입주 상인과 지역 고용자를 볼모로 롯데가 부산에서 계속 이익을 챙기도록 부산시와 지역사회가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롯데쇼핑 측은 "롯데타워 건립에 대한 확실한 의지를 갖고 있다"면서 "시가 임시사용 승인 추가 연장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