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 광복점 전경.
롯데백화점 부산 광복점과 아쿠아몰, 엔터테인먼트동이 6월 1일부터 문을 닫는다.

부산광역시는 "이 상업시설에 대한 임시사용승인 조치를 추가로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부산 광복점은 2009년 부산시로부터 임시사용승인을 받고 이를 연장하는식으로 영업을 해왔지만, 이번 조치로 무기한 영업중단 위기에 처하게 됐다.

● "헛공약 된 107층 랜드마크"



롯데백화점과 부산시의 갈등은 22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롯데는 1995년 옛 부산시청 청사 부지에 지상 107층짜리 '부산롯데타워' 건설 계획을 세웠다.

이후 백화점, 아쿠아몰, 마트가 순차적으로 들어섰지만 타워동은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이유는 타워동의 수익성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결국 롯데는 이미 지어진 백화점, 마트, 아쿠아몰에 대해 임시사용승인을 받는 방식으로 영업을 이어왔다.

타워동의 경우 2013년 터파기 공사가 마무리 된 이후 지금까지 답보 상태다.

이에 부산시는 매년 5월 31일 백화점 임시사용승인을 내줬으나 이번에는 승인을 하지 않는 강경책을 썼다.

롯데타워 사업이 지지부진한 점, 롯데의 추진 의지가 미약해 상업시설만 활용하도록 놔둘 수는 없다는 이유를 든 것으로 전해졌다.

● 800개 매장, 근로자 3천명…'배짱 영업' 이유 됐나



현재 롯데백화점 부산 광복점에 입주한 매장은 약 800개, 소속 직원은 약 3,300명으로 추산된다.

관계사와 백화점 주변 상권까지 따져본다면 부산시에 미칠 경제적 영향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같은 '지역 경제 파급력'이 롯데쇼핑이 투자를 미룬 이유가 됐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지역에는 큰 기업이 많지 않아 백화점이 지역 경제와 일자리에 기여하는 정도가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롯데로서는 지자체가 당연히 임시사용승인을 내줄 것이라고 예상했을 것"이라며 "근로자 3천여명을 등에 업고 투자없이 배짱 영업을 해온 셈"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부산시가 강경 대응에 나서면서 이같은 배짱 영업에도 마침표를 찍게 됐다.

● 발등에 불 떨어진 롯데…"랜드마크 타워 짓겠다"

롯데 측은 부산시의 '임시사용승인 불허' 조치에 당혹스런 눈치다.

통상 롯데백화점은 임시사용승인 마감 한 달 전쯤 부산시에 임시사용승인을 신청하고, 만료 2주 전 승인을 받아왔다.

올해는 부산시에서 마감일까지 승인을 내주지 않아 위기감이 고조돼왔는데 결국 '영업정지'라는 최후통첩을 받은 것이다.

롯데 측은 ▲임시사용승인을 부산시로부터 최대한 빠르게 받고 ▲롯데타워 건립에도 속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부산시에 롯데타워 건립에 대한 진정성을 재차 확인시켜 임시사용승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부산 지역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 활동에 더욱 앞장서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는 하반기 중 롯데타워에 대한 건축심의를 접수하고, 내년 상반기 중 건축허가 신청을 마치겠다"고 전했다.


전효성기자 zeo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