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 3선 성공 조희연, 진보교육감 시대 대표주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진보 학자·실천적 지식인에서 교육행정가로…교육혁신 목소리
"질높은 공교육" 목표…남아있는 해직교사 특채 소송 부담 '진보 교육감 전성시대' 8년을 이끈 대표 주자인 조희연(65) 서울시교육감은 1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당선이 확실시되면서 첫 3선 서울시교육감 자리에 오르게 됐다.
진보 사회학자 출신인 그는 1956년 10월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 중앙고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교 4학년 때인 1978년 '유신헌법과 긴급조치를 철폐하라'는 유인물을 배포해 긴급조치 9호를 위반한 혐의로 구속 기소됐고 1년간 옥살이를 했다.
이후 그는 재심을 청구했으며 대법원이 긴급조치 9호를 무효로 판결하면서 징역 선고 34년 만인 2013년 무죄를 선고받았다.
1980∼2000년대에는 진보 학자이자 '실천적 지식인'의 길을 걸었다.
1980년대 말 고(故) 박현채 조선대 교수와 한국사회 구성체 논쟁을 정리해 이른바 '사구체 논쟁'을 이끌었고 1990년 성공회대 교수로 임용된 이후에는 이 학교를 '진보학문의 요람'으로 이끄는 역할을 했다.
그는 1994년 당시 변호사였던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초대 사무처장, 합동사무처장, 집행위원장, 운영위원장 등을 지냈다.
또한 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 한국비판사회학회장, 한국 사회운동과 정치연구회 회장 등도 지냈다.
그는 전국적으로 '진보교육감 전성시대'가 열린 2014년 당선돼 8년간 서울교육감을 지내며 이 시기의 '대표주자'로 떠올랐다.
2014년 선거 때 낮은 지지율로 출발해 '신승'을 거뒀고, 2018년 선거에서는 보수 성향 후보들의 결집 실패로 재선에 성공했다.
이어 이번 선거에서도 중도·보수 후보들의 분열 속에 3선까지 달성했다.
교육감 8년을 지내면서는 서울형 혁신학교 추진, 무상급식 확대, 학생인권조례 시행,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정 취소 등 진보 성향이 드러나는 교육정책을 펼쳤으며 '교육 혁신'의 필요성에 지속해서 목소리를 냈다. 이에 비판과 반발도 뒤따랐다.
자사고들이 지정 취소에 불복해 낸 소송에서 전패해 결국 항소를 취하했고, 40년 이상 노후학교를 증개축하는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이 '혁신학교'로 오인되는 등의 이유로 일부에서 거센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보수 진영은 진보 교육감 8년 체제에서 이른바 '일제고사'로 불리는 전수평가를 하지 않아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저하됐다고도 비판한다.
또 진보 교육감들의 상징적 정책 중 하나인 '학생인권조례'에 대해서도 보수 진영은 학생들의 인권 의식을 향상시킨 이면에 교권 침해가 심해졌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학교방역과 교육결손 회복,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 강화 등은 이념과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추진돼온 정책들로, 조 교육감은 이를 통해 '합리적 행정가' 면모를 부각하고자 노력했다.
이번 선거에서도 '질 높은 공교육'을 슬로건으로 세우고 학교교육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다만, 해직교사 특별채용 의혹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1호 수사 대상이 되고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된 일은 '조희연 3기' 4년에 부담으로 남아 있다.
그보다 앞서 그는 첫 임기 중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기소돼 2015년 1심에서 당선무효형인 벌금 500만원을 받았으나 2심에서 벌금 250만원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다.
2016년 대법원이 이를 확정해 직을 유지했다.
/연합뉴스
"질높은 공교육" 목표…남아있는 해직교사 특채 소송 부담 '진보 교육감 전성시대' 8년을 이끈 대표 주자인 조희연(65) 서울시교육감은 1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당선이 확실시되면서 첫 3선 서울시교육감 자리에 오르게 됐다.
진보 사회학자 출신인 그는 1956년 10월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 중앙고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교 4학년 때인 1978년 '유신헌법과 긴급조치를 철폐하라'는 유인물을 배포해 긴급조치 9호를 위반한 혐의로 구속 기소됐고 1년간 옥살이를 했다.
이후 그는 재심을 청구했으며 대법원이 긴급조치 9호를 무효로 판결하면서 징역 선고 34년 만인 2013년 무죄를 선고받았다.
1980∼2000년대에는 진보 학자이자 '실천적 지식인'의 길을 걸었다.
1980년대 말 고(故) 박현채 조선대 교수와 한국사회 구성체 논쟁을 정리해 이른바 '사구체 논쟁'을 이끌었고 1990년 성공회대 교수로 임용된 이후에는 이 학교를 '진보학문의 요람'으로 이끄는 역할을 했다.
그는 1994년 당시 변호사였던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초대 사무처장, 합동사무처장, 집행위원장, 운영위원장 등을 지냈다.
또한 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 한국비판사회학회장, 한국 사회운동과 정치연구회 회장 등도 지냈다.
그는 전국적으로 '진보교육감 전성시대'가 열린 2014년 당선돼 8년간 서울교육감을 지내며 이 시기의 '대표주자'로 떠올랐다.
2014년 선거 때 낮은 지지율로 출발해 '신승'을 거뒀고, 2018년 선거에서는 보수 성향 후보들의 결집 실패로 재선에 성공했다.
이어 이번 선거에서도 중도·보수 후보들의 분열 속에 3선까지 달성했다.
교육감 8년을 지내면서는 서울형 혁신학교 추진, 무상급식 확대, 학생인권조례 시행,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정 취소 등 진보 성향이 드러나는 교육정책을 펼쳤으며 '교육 혁신'의 필요성에 지속해서 목소리를 냈다. 이에 비판과 반발도 뒤따랐다.
자사고들이 지정 취소에 불복해 낸 소송에서 전패해 결국 항소를 취하했고, 40년 이상 노후학교를 증개축하는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이 '혁신학교'로 오인되는 등의 이유로 일부에서 거센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보수 진영은 진보 교육감 8년 체제에서 이른바 '일제고사'로 불리는 전수평가를 하지 않아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저하됐다고도 비판한다.
또 진보 교육감들의 상징적 정책 중 하나인 '학생인권조례'에 대해서도 보수 진영은 학생들의 인권 의식을 향상시킨 이면에 교권 침해가 심해졌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학교방역과 교육결손 회복,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 강화 등은 이념과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추진돼온 정책들로, 조 교육감은 이를 통해 '합리적 행정가' 면모를 부각하고자 노력했다.
이번 선거에서도 '질 높은 공교육'을 슬로건으로 세우고 학교교육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다만, 해직교사 특별채용 의혹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1호 수사 대상이 되고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된 일은 '조희연 3기' 4년에 부담으로 남아 있다.
그보다 앞서 그는 첫 임기 중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기소돼 2015년 1심에서 당선무효형인 벌금 500만원을 받았으나 2심에서 벌금 250만원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다.
2016년 대법원이 이를 확정해 직을 유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