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저널리스트 에즈라 클라인이 쓴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편가르기'가 점점 더 심해지는 시대…정치 양극화 해법은
지난 3월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득표율 48.56%를 기록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47.83%)를 누르고 당선됐다.

3위인 정의당 심상정 후보 득표율은 2.37%에 불과해 보수와 진보 거대 양당의 대결로 끝났다.

지난 1일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거대 양당이 광역·기초단체장을 비롯해 광역·기초의회 의원 등에서 얼마나 많은 지분을 차지하느냐가 주된 관심사였다.

4년 전과 달리 이번에는 국민의힘이 압승을 거뒀고, 정의당·진보당 등 소수 정당은 거대 양당에 밀려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최근 번역 출간된 미국 저널리스트 에즈라 클라인(38)의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윌북)는 미국 정치를 다루지만, 사실상 양극화된 우리나라 정치 지형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 편'과 '저쪽 편'만 있는 정치, 빨간색과 파란색만으로 구분하는 정치는 미국이나 한국이나 같다.

20년 가까이 미국 정치를 공부했다는 저자는 1864년 이래로 매 선거를 지배해온 민주당과 공화당 역사를 언급한다.

두 정당이 서로 비방하고 허물어트리며, 때로는 상대방에게 타격을 주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최근 50년 동안의 미국 정치를 요약하면서 "투표에서 특정 정당을 더욱 일관적으로 지지하게 됐다"고 말한다.

이런 상황을 '부정적인 당파성'이라고 표현하며 "투표하는 정당을 더 좋아하게 됐기 때문이 아니라 반대편 정당을 더 싫어하게 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또 정치적 양극화가 개인의 정체성으로도 작용하고, 그것들이 하나로 모여서 융합하면 자아 감각이 된다며 '정체성 정치'라는 용어도 사용한다.

개인의 본능적이고 감정적인 이해관계가 정치와 연결되면 우리 편의 승리를 위해 무엇이든 기꺼이 하려는 의지도 강해진다는 게 저자 생각이다.

'편가르기'가 점점 더 심해지는 시대…정치 양극화 해법은
책은 양극화를 가속화하는 원인으로 인터넷을 지목하기도 한다.

매체 수가 늘어나면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만을 더 선호하게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사람들이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기 위해 성향이 맞는 미디어를 더 많이 보고, SNS에서 공유하기와 '좋아요' 클릭 등을 통해 집단의 일원이 되고자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정체성의 뿌리는 깊어지고, 견해를 뒤흔드는 변화에 더 저항적으로 된다"며 "정치 미디어는 우리의 정체성을 활성화하는 정치적 이슈와 인물들에 치우쳐 있다"고 지적한다.

물론 저자는 양극화 자체가 문제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다당제에서 양극화는 종종 정치적 견해 차이를 표현하기 위해 요구되고 해결책이 되기도 하지만, 양극화의 대안이 합의가 아니라 억압일 때가 많은 게 문제라고 말한다.

책이 내세우는 양극화의 해결책은 단순하다.

양극화를 만드는 사회 내 모든 구조와 시스템을 밝힘으로써 그 시스템의 소용돌이 안에서 휘둘리지 않는 개인의 자각을 촉구하는 것이다.

상대를 비난하고 시스템을 비난하면서 나에 대해 자각하지 않는다면 양극화 해결이 어렵다고 말한다.

저자는 구체적으로 '정체성 마음챙김'과 '장소의 정치학 재발견하기'를 제안한다.

우리가 어떤 정체성을 활성화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마음을 챙기고, 일상 속에서 접하는 뉴스가 전국적인 이슈에 치우쳐 있지 않은지 생각하면서 지역 뉴스에도 관심을 가지라는 주문이다.

저자가 양극화의 해법을 결국 개인 문제로 축소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될 수도 있지만, 지금 바로 여기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움직임을 제안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황성연 옮김. 344쪽. 1만8천800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