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급여 인상 요구…'임금發 인플레' 압박도 커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가구당 月소득 10% 늘어
2006년 이후 최대폭 증가율
임금인상→물가상승 악순환 우려
내달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2006년 이후 최대폭 증가율
임금인상→물가상승 악순환 우려
내달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치솟는 물가가 임금 인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임금발(發)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회복에 따라 ‘보복 소비’ 움직임이 물가를 자극하는 데 이어 ‘물가 상승→임금 인상→물가 상승’의 악순환까지 겹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통계청은 “취업자 증가 등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서비스업 업황 개선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1분기 소득이 대폭 늘어난 건 정부 재정으로 만들어진 일시적인 ‘세금 일자리’ 증가, 방역지원금 지급 등도 영향을 미친 만큼 일시적 현상이란 지적도 있다. 2분기 이후엔 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이 정체되거나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을 중심으로 물가 급등을 반영해 임금 인상 요구가 거세질 수 있다. 이미 삼성전자는 9%대 임금 인상을 확정했고, SK하이닉스도 비슷한 수준에서 임금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네이버·카카오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전년보다 10% 이상 연봉 재원을 늘리기로 했다.
문제는 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추가로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업이 높아진 인건비를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수 있어서다. 한은은 지난 4월 ‘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 상승 압력 평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상용직 정액 급여 등의 임금 상승률 기여도가 확대되면서 임금 상승 압력을 높이고 있다”며 “경우에 따라 물가가 임금 상승을 부추기고 다시 물가 추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일 경제 6단체장을 만나 “경쟁적인 가격 및 임금 인상은 인플레이션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며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가격 상승 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해달라”고 당부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난달 13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도 “물가에 대한 과도한 우려가 임금 부문으로까지 전이돼 상호 상승하는 악순환을 막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민간의 자발적인 상생 협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오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것도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은 이날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팬데믹 기간에 억눌렸던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수요 측 압력이 커지면서 국내 개인 서비스 물가 오름세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은이 다음달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2.0%로 인상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통계청은 “취업자 증가 등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서비스업 업황 개선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1분기 소득이 대폭 늘어난 건 정부 재정으로 만들어진 일시적인 ‘세금 일자리’ 증가, 방역지원금 지급 등도 영향을 미친 만큼 일시적 현상이란 지적도 있다. 2분기 이후엔 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이 정체되거나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을 중심으로 물가 급등을 반영해 임금 인상 요구가 거세질 수 있다. 이미 삼성전자는 9%대 임금 인상을 확정했고, SK하이닉스도 비슷한 수준에서 임금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네이버·카카오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전년보다 10% 이상 연봉 재원을 늘리기로 했다.
문제는 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추가로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업이 높아진 인건비를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수 있어서다. 한은은 지난 4월 ‘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 상승 압력 평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상용직 정액 급여 등의 임금 상승률 기여도가 확대되면서 임금 상승 압력을 높이고 있다”며 “경우에 따라 물가가 임금 상승을 부추기고 다시 물가 추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일 경제 6단체장을 만나 “경쟁적인 가격 및 임금 인상은 인플레이션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며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가격 상승 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해달라”고 당부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난달 13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도 “물가에 대한 과도한 우려가 임금 부문으로까지 전이돼 상호 상승하는 악순환을 막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민간의 자발적인 상생 협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오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것도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은 이날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팬데믹 기간에 억눌렸던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수요 측 압력이 커지면서 국내 개인 서비스 물가 오름세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은이 다음달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2.0%로 인상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