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격 준비 마친 다누리, 달에서 물 흔적 찾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달 5일 美 발사장으로 이송
8월 스페이스X 로켓으로 발사
세계 7번째 달 탐사國에 도전
8월 스페이스X 로켓으로 발사
세계 7번째 달 탐사國에 도전
“달 탐사는 한국이 지구의 중력장을 벗어나는 본격적인 우주 탐사 역량을 갖춘 일곱 번째 국가가 됐다는 것을 증명하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지난 3일 대전 항우연 본원에서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의 발사 준비 현장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다누리는 총중량 678㎏로 가로·세로·높이 약 2m의 직육면체 모양이다. 태양전지판을 펴면 가로 기준 약 6m까지 커진다. 달의 극지방을 촬영할 수 있는 섀도캠 등 6종의 탐사 장비가 실려 있다.
항우연은 최근 다누리 선적 전 검토 회의를 마쳤다. 극저온과 고온에서도 모든 장비가 이상 없이 작동하는지 등을 점검했다. 다누리는 다음달 5일 전용 특수 컨테이너에 실려 항공기를 통해 인천공항에서 발사장인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로 이송된다. 한국 시간으로 8월 3일 오전 8시20분 미국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로 발사될 예정이다. 2016년 1월 달 탐사 사업을 시작한 지 6년7개월 만이다.
항우연은 달 탐사 궤도로 ‘탄도 달 전이(BLT)’ 방식을 채택했다. BLT 방식은 지구-달-태양 간 중력을 최대한 이용해 최소한의 연료를 쓰면서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지구에서 바로 달로 가는 ‘직접 전이 방식’에 비해 연료 소모량을 25% 이상 줄일 수 있다. 12월 16일 달에 가까이 다가선 다누리는 달 공전궤도를 다섯 차례 돌며 궤도의 지름을 좁혀가는 진입 기동을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12월 31일 달 고도 100㎞ 극지방을 도는 원 궤도에 진입한다. 이후 1년간 달의 극지방에서 얼음 형태의 물을 찾거나 달 착륙선이 내리기 좋은 장소를 검증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다누리의 달 전이 과정 및 궤도 진입은 항우연 임무운영센터 관제로 이뤄진다. 임무운영센터는 국내 최초로 구축한 심(深)우주지상안테나 및 미 항공우주국(NASA) 심우주네트워크(DSN)와 연동돼 있다. 경기 여주에 설치된 직경 35m 대형 안테나 등이 포함된 시스템이다.
다누리 발사는 지구의 중력장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동안 한국의 우주 개발 사업은 지구 중력장 내에서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데 그쳤다. 현재까지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 인도가 달 착륙 및 탐사에 성공했다.
대전=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지난 3일 대전 항우연 본원에서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의 발사 준비 현장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다누리는 총중량 678㎏로 가로·세로·높이 약 2m의 직육면체 모양이다. 태양전지판을 펴면 가로 기준 약 6m까지 커진다. 달의 극지방을 촬영할 수 있는 섀도캠 등 6종의 탐사 장비가 실려 있다.
항우연은 최근 다누리 선적 전 검토 회의를 마쳤다. 극저온과 고온에서도 모든 장비가 이상 없이 작동하는지 등을 점검했다. 다누리는 다음달 5일 전용 특수 컨테이너에 실려 항공기를 통해 인천공항에서 발사장인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로 이송된다. 한국 시간으로 8월 3일 오전 8시20분 미국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로 발사될 예정이다. 2016년 1월 달 탐사 사업을 시작한 지 6년7개월 만이다.
항우연은 달 탐사 궤도로 ‘탄도 달 전이(BLT)’ 방식을 채택했다. BLT 방식은 지구-달-태양 간 중력을 최대한 이용해 최소한의 연료를 쓰면서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지구에서 바로 달로 가는 ‘직접 전이 방식’에 비해 연료 소모량을 25% 이상 줄일 수 있다. 12월 16일 달에 가까이 다가선 다누리는 달 공전궤도를 다섯 차례 돌며 궤도의 지름을 좁혀가는 진입 기동을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12월 31일 달 고도 100㎞ 극지방을 도는 원 궤도에 진입한다. 이후 1년간 달의 극지방에서 얼음 형태의 물을 찾거나 달 착륙선이 내리기 좋은 장소를 검증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다누리의 달 전이 과정 및 궤도 진입은 항우연 임무운영센터 관제로 이뤄진다. 임무운영센터는 국내 최초로 구축한 심(深)우주지상안테나 및 미 항공우주국(NASA) 심우주네트워크(DSN)와 연동돼 있다. 경기 여주에 설치된 직경 35m 대형 안테나 등이 포함된 시스템이다.
다누리 발사는 지구의 중력장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동안 한국의 우주 개발 사업은 지구 중력장 내에서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데 그쳤다. 현재까지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 인도가 달 착륙 및 탐사에 성공했다.
대전=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