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25bp) 인하했다. 증권가에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선이라는 변수가 생겼지만, Fed가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Fed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4.75~5%에서 4.5~4.75%로 낮췄다. 지난 9월 빅컷(기준금리 한 번에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한 데 이어 연속으로 통화정책 완화 결정을 내렸다. 특히 2회 연속 기준금리를 내린 것은 지난 2020년 이후 처음이다.11월 FOMC에 대해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물가 하향 안정 기조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제롬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여러 차례 중립 금리를 언급했고, 9월 점도표에서 제시했던 내년 금리인하 횟수와 수준이 유효할 수 있다고 말한 점을 고려하면 12월은 물론 내년에도 Fed의 금리 인하 기조가 유지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평가했다. ''iM증권은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가 25bp 추가 인하될 것으로 봤다. 내년에도 물가 상승압력이 강해지지 않으면 중립금리 수준인 3.5%까지 기준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다만 박 연구원은 파월 의장이 트럼프 전 대통령 재선에 따른 영향을 언급하지 않은 점을 주목했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 부과, 대규모 감세 등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정책이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해 "현시점에서 정책 변화를 알 수 없으며 단기적으로는 선거 결과가 통화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파월 의장은 트럼프 당선인이 사퇴를 요구할 경우 그만둘 것이냐는 기자 질의에 "안 하겠다"고 짧게 답했다.박 연구원은 "파
iM증권은 8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당선과 관련해 "트럼프 시대에는 인공지능(AI) 빅테크만 고수할 필요는 없다"며 대표적인 증시 수혜 테마로 금융, 인프라, 방산, 원자력을 꼽았다.이 증권사 박윤철 연구원은 "금융(규제완화), 방산(지정학적 갈등), 원자력(에너지 안보)의 경우 현재뿐 아니라 이전 임기에서도 트럼프 우호적인 테마였던 데다 수익률 역시 양호했다"며 "미국 우선주의 실현을 위한 내수, 특히 제조업 부양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중소형, 인프라 테마와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예상했다.그는 "트럼프 시대에는 지난해부터 글로벌 증시를 이끌어온 AI 빅테크 보다는 다른 테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AI 수익성이 빠르게 확인되지 않는 이상 트럼프 시대에서의 인플레와 금리 부담이 AI와 빅테크엔 부담으로 작용할 여지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트럼프 당선 확정 이후 증시에선 '트럼프 트레이딩'이 강하게 반영됐다는 평가다.박 연구원은 "법인세 인하와 규제완화 기대로 글로벌 증시 전반이 환호한 가운데 달러와 국채금리 급등, 지정학적 우려로 중화권 증시 하락 등 반응은 극적이었다"며 "트럼프 당선 확정 당일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 순서에서도 트럼프 트레이드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항공주의 경우 트럼프 정부 아래서 안정된 유가와 달러강세에 따른 미국민 여행수요 증가 가능성을 반영하며 상승률 상위에 위치했다. 다만 원전과 같이 대선 이전부터 가파르게 올랐던 테마는 단기 주가 부담에 직면하는 모습도 나타났다는 설명이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한국투자증권은 상장사들의 3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기에 추가적인 전망치 하향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8일 밝혔다.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예상대로 부진한 모습”이라며 “영업이익 기준으로 현재 예상치 대비 약 6% 적은 수준으로 실적이 발표됐다”고 말했다.삼성전자가 포함된 IT 업종이 실적 부진을 주도했다. 나머지 업종 중에서도 금융, 산업재, 건강관리 업종을 제외하면 대체로 예상에 못 미치는 실적을 내놨다.아직 실적시즌이 1주일가량 남았지만, 기대할 게 별로 없다는 지적이다. 염 연구원은 “코스피200기업 중 3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비중은 50% 정도”라며 “과거 경험상 어닝 시즌 후반에 실적을 발표하는 중소형주의 실적이 예상치를 웃도는 경우는 많지 않ᄋᆞᆻ다”고 말했다.이에 따라 상장사들 실적 추정치의 추가 하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염 연구원은 조언했다. 그는 “3분기까지 누적 실적이 연간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과거와 비교해보면 IT, 산업재, 소재, 에너지 업종의 달성률이 낮은 상황”이라며 “추가적인 이익 하향 조정 가능성이 높은 업종이라는 의미”라고 말했다.이어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내년 1분기까지 실적 모멘텀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인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