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믹스, 벼 유전자형 대량 분석기술 개발 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GS 기반 육종 기술 수요 증가 기대
셀레믹스는 벼 패널(시약) 및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타겟 캡쳐’ 기술을 활용해, 벼 유전자형 대량 분석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셀레믹스는 지난 1월 농촌진흥청 산하의 국립농업과학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우리나라 주류 벼 품종 모두에 적용 가능한 벼 유전자형 대량분석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벼 품종들을 활용해 병충해와 기상재해에 저항성을 가진 신품종 벼의 빠른 육종을 시도해 왔다. 하지만 일부 품종에 대한 유전자형 대량 분석 기술이 없어, 연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는 설명이다.
이번 협업을 통해 개발한 기술로, 기존 품종의 단점을 보완한 신품종을 개발하는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에도 게재됐다. 정부기관과 산업체의 기술을 융합한 성공적인 협력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했다.
셀레믹스가 개발한 벼 패널은 동시에 수많은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둥지(하이브) 방식 기반의 타겟 캡쳐 패널이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제작됐다고 했다. 기존 유전자증폭(PCR) 방식으로 분석이 어려운 바이오마커들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효기 셀레믹스 공동대표는 “동·식물, 수산 등 ‘논 휴먼(Non-human)’ 유전체 분석에 대해 해외에서도 기술과 제품 문의가 늘고 있어,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며 “셀레믹스는 작년부터 국내뿐만 아니라 동·식물 관련 해외 유수의 대학 및 정부기관과 협업해 논 휴먼 분야 유전체 분석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셀레믹스는 지난 1월 농촌진흥청 산하의 국립농업과학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우리나라 주류 벼 품종 모두에 적용 가능한 벼 유전자형 대량분석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벼 품종들을 활용해 병충해와 기상재해에 저항성을 가진 신품종 벼의 빠른 육종을 시도해 왔다. 하지만 일부 품종에 대한 유전자형 대량 분석 기술이 없어, 연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는 설명이다.
이번 협업을 통해 개발한 기술로, 기존 품종의 단점을 보완한 신품종을 개발하는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에도 게재됐다. 정부기관과 산업체의 기술을 융합한 성공적인 협력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했다.
셀레믹스가 개발한 벼 패널은 동시에 수많은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둥지(하이브) 방식 기반의 타겟 캡쳐 패널이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제작됐다고 했다. 기존 유전자증폭(PCR) 방식으로 분석이 어려운 바이오마커들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효기 셀레믹스 공동대표는 “동·식물, 수산 등 ‘논 휴먼(Non-human)’ 유전체 분석에 대해 해외에서도 기술과 제품 문의가 늘고 있어,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며 “셀레믹스는 작년부터 국내뿐만 아니라 동·식물 관련 해외 유수의 대학 및 정부기관과 협업해 논 휴먼 분야 유전체 분석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