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위기 내몰린 건설 현장…무주택자들 '좌불안석'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주택공급 250만가구 이상 공급 계획에 노란불이 켜졌다. 자재값 급등으로 건설 현장 곳곳에서 조합과 건설사들이 분양가 산정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까지 총파업에 나서 물류 대란 가능성까지 높아져서다. 총파업으로 시멘트 공장의 제품 출하가 중단되면서 시멘트를 원료로 하는 레미콘 생산이 어려워지고 있다.
총파업이 길어지면 건설 현장이 셧다운(공사 중단)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설 현장에 악재가 이어지면서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늦추는 모습을 보이자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실수요자들의 속도 타 들어가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전국 시멘트 출하량은 1만5500톤에 그쳤다. 총파업 전 일 평균 시멘트 출하량은 18만톤(t) 수준이었다. 시멘트 출하량이 평소 대비 8.61% 수준으로 급감한 셈이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이대로라면 오는 9일 이후엔 사실상 시멘트 출하가 어려워 레미콘 업체들이 1~2일 내 생산을 중단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요가 몰리는 수도권에선 이미 일부 레미콘 업체들이 시멘트 재고를 소진해 이날부터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레미콘은 골조 공사의 핵심 자재다.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 공사 현장이 중단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건설사들은 이날 전국 각지의 공사 현장을 긴급 점검하면서 "급한대로 다른 공정부터 진행할 순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 등 주요 작업을 무작정 미루는 건 사실상 어렵다"며 "총파업이 장기화되면 건설 현장에 큰 혼란이 올 수밖에 없어 답답한 심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미 올 들어 주택 착공 실적은 빠르게 줄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철근·시멘트 등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해 건설사들의 공사비 부담이 커진 탓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4월까지 주택 착공 실적은 전국 11만8525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7만4287가구)에 비해 32%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6만7610가구로 28.4% 감소했고, 지방은 5만915가구로 36.2% 감소했다.
또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개선 움직임을 보이면서 건설사들은 제도 개선 후로 분양 일정을 계속 미루고 있다. 실제 정비업계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착공을 하고서도 일반 분양을 미루고 있는 재건축·재개발 물량만 1만가구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총파업으로 레미콘 수급까지 어려워지면서 실수요자들을 대상으로 한 주택 공급 확대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건설사 관계자는 “주요 공사 현장의 레미콘 확보 물량이 한정적이라 총파업이 하루 이틀만 더 이어져도 현장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며 “장마철을 앞두고 각 공사 현장이 작업이 서두르고 있는데 이른 시일 내 총파업이 해결되지 않으면 결국 올 하반기 이후 예정된 각종 정비 사업이나 분양 일정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한편 주무부처인 국토부는 총파업 관련 명확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채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어명소 국토부 제2차관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대화의 문은 언제든 열려 있다"면서도 총파업의 원인이 된 안전운임제 유지·확대 시행 관련해선 국회 입법 사안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어 차관은 "궁극적으로 법률 개정 사안이라 국회에서 논의돼서 결정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총파업이 길어지면 건설 현장이 셧다운(공사 중단)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설 현장에 악재가 이어지면서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늦추는 모습을 보이자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실수요자들의 속도 타 들어가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전국 시멘트 출하량은 1만5500톤에 그쳤다. 총파업 전 일 평균 시멘트 출하량은 18만톤(t) 수준이었다. 시멘트 출하량이 평소 대비 8.61% 수준으로 급감한 셈이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이대로라면 오는 9일 이후엔 사실상 시멘트 출하가 어려워 레미콘 업체들이 1~2일 내 생산을 중단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요가 몰리는 수도권에선 이미 일부 레미콘 업체들이 시멘트 재고를 소진해 이날부터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레미콘은 골조 공사의 핵심 자재다.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 공사 현장이 중단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건설사들은 이날 전국 각지의 공사 현장을 긴급 점검하면서 "급한대로 다른 공정부터 진행할 순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 등 주요 작업을 무작정 미루는 건 사실상 어렵다"며 "총파업이 장기화되면 건설 현장에 큰 혼란이 올 수밖에 없어 답답한 심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미 올 들어 주택 착공 실적은 빠르게 줄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철근·시멘트 등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해 건설사들의 공사비 부담이 커진 탓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4월까지 주택 착공 실적은 전국 11만8525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7만4287가구)에 비해 32%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6만7610가구로 28.4% 감소했고, 지방은 5만915가구로 36.2% 감소했다.
또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개선 움직임을 보이면서 건설사들은 제도 개선 후로 분양 일정을 계속 미루고 있다. 실제 정비업계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착공을 하고서도 일반 분양을 미루고 있는 재건축·재개발 물량만 1만가구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총파업으로 레미콘 수급까지 어려워지면서 실수요자들을 대상으로 한 주택 공급 확대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건설사 관계자는 “주요 공사 현장의 레미콘 확보 물량이 한정적이라 총파업이 하루 이틀만 더 이어져도 현장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며 “장마철을 앞두고 각 공사 현장이 작업이 서두르고 있는데 이른 시일 내 총파업이 해결되지 않으면 결국 올 하반기 이후 예정된 각종 정비 사업이나 분양 일정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한편 주무부처인 국토부는 총파업 관련 명확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채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어명소 국토부 제2차관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대화의 문은 언제든 열려 있다"면서도 총파업의 원인이 된 안전운임제 유지·확대 시행 관련해선 국회 입법 사안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어 차관은 "궁극적으로 법률 개정 사안이라 국회에서 논의돼서 결정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