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기침체 경고음 커진다…"2분기 0%대 성장 그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애틀랜타 연은 전망치 하향
소비·투자 경기지표 잇단 부진
세계銀도 올 성장률 전망 내려
CEO 12%만 "연착륙 가능"
中봉쇄완화·카드지출 등 긍정적
인플레가 정점 찍었는지가 관건
이번주 5월 소비자물가에 촉각
소비·투자 경기지표 잇단 부진
세계銀도 올 성장률 전망 내려
CEO 12%만 "연착륙 가능"
中봉쇄완화·카드지출 등 긍정적
인플레가 정점 찍었는지가 관건
이번주 5월 소비자물가에 촉각
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중앙은행(Fed)이 서둘러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는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애틀랜타연방은행은 올 2분기 경기성장률 전망치를 단 6일 만에 0.4%포인트 내렸다. 세계은행도 미국 성장률 전망을 낮추고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재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봉쇄 완화 등으로 큰 침체는 없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나온다.
지난 1분기 미국 GDP 성장률은 -1.5%를 기록해 7개 분기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통상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
미국 GDP의 70%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은 상황이 더 안 좋다. GDP나우는 3분기 개인소비지출 증가율 전망치를 4.4%에서 3.7%로 0.7%포인트 낮췄다. 민간 국내 투자 전망치도 8.3% 감소에서 8.5% 감소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 상무부가 이날 발표한 4월 무역수지 적자는 871억달러로 전월(1077억달러) 대비 19.1%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세계은행은 이날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7%에서 2.5%로 낮췄다. 전 세계 전망치는 4.1%에서 2.9%로 내렸다. 세계은행은 “많은 나라가 경기침체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스태그플레이션 위험도 상당하다”고 밝혔다.
미국 산업계도 경제침체 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미국 경제조사기관인 콘퍼런스보드가 내놓은 2분기 ‘CEO 신뢰지수 조사’에선 응답자의 68%가 경기침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것이란 예상도 20%에 달했다. 경기 후퇴 없이 연착륙이 가능할 것이란 응답은 12%에 불과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경기침체에 접어들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경기침체가 12~18개월간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즉 물가가 경제성장률을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잡혀야 Fed가 생산과 소비를 위축시킬 금리인상 등 긴축을 멈출 수 있어서다.
경기침체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블룸버그는 이날 이코노미스트 분석을 인용해 낙관론의 네 가지 배경을 소개했다. 우선 노동 참여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고 있다. 미국 소비자의 지난달 신용카드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늘고, 대중교통 사용 빈도가 증가세라는 점도 긍정적이다. 중국의 봉쇄 조치 완화도 호재다. 골드만삭스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경제 활동이 둔화하겠지만 경기침체는 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건은 10일 발표되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어떻게 나오느냐다. 미국 CPI는 지난 3월 8.5%(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한 뒤 4월 8.3%로 떨어졌다. 인플레이션이 이미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기대가 나온 배경이다. 5월은 8.2~8.3% 전망이 우세하다. 이 전망을 웃도는 수치가 나오면 Fed가 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횟수를 늘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美 2분기 성장률 전망치 하향
애틀랜타연방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전망을 소개하는 웹사이트인 GDP나우는 “올 2분기 미국 GDP 경제성장률(전 분기 대비 연율 기준)이 0.9%로 추정된다”고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지난 1일 추정치(1.3%)보다 0.4%포인트 낮아진 것이다.지난 1분기 미국 GDP 성장률은 -1.5%를 기록해 7개 분기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통상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
미국 GDP의 70%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은 상황이 더 안 좋다. GDP나우는 3분기 개인소비지출 증가율 전망치를 4.4%에서 3.7%로 0.7%포인트 낮췄다. 민간 국내 투자 전망치도 8.3% 감소에서 8.5% 감소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 상무부가 이날 발표한 4월 무역수지 적자는 871억달러로 전월(1077억달러) 대비 19.1%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세계은행은 이날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7%에서 2.5%로 낮췄다. 전 세계 전망치는 4.1%에서 2.9%로 내렸다. 세계은행은 “많은 나라가 경기침체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스태그플레이션 위험도 상당하다”고 밝혔다.
미국 산업계도 경제침체 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미국 경제조사기관인 콘퍼런스보드가 내놓은 2분기 ‘CEO 신뢰지수 조사’에선 응답자의 68%가 경기침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것이란 예상도 20%에 달했다. 경기 후퇴 없이 연착륙이 가능할 것이란 응답은 12%에 불과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경기침체에 접어들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경기침체가 12~18개월간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인플레이션 대응이 변수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상원 금융위 청문회에 출석해 “40년 만의 최고인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이라며 “인플레이션 잡기가 정책의 최우선순위”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현재 역사적인 회복 국면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 국면으로의 이행기에 접어들고 있다”며 “이 같은 경제적인 성취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을 잡는 게 대통령의 핵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즉 물가가 경제성장률을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잡혀야 Fed가 생산과 소비를 위축시킬 금리인상 등 긴축을 멈출 수 있어서다.
경기침체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블룸버그는 이날 이코노미스트 분석을 인용해 낙관론의 네 가지 배경을 소개했다. 우선 노동 참여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고 있다. 미국 소비자의 지난달 신용카드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늘고, 대중교통 사용 빈도가 증가세라는 점도 긍정적이다. 중국의 봉쇄 조치 완화도 호재다. 골드만삭스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경제 활동이 둔화하겠지만 경기침체는 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건은 10일 발표되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어떻게 나오느냐다. 미국 CPI는 지난 3월 8.5%(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한 뒤 4월 8.3%로 떨어졌다. 인플레이션이 이미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기대가 나온 배경이다. 5월은 8.2~8.3% 전망이 우세하다. 이 전망을 웃도는 수치가 나오면 Fed가 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횟수를 늘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