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스마트빌딩 시장에 진출한다. 네이버 제2 사옥 1784에 적용한 5세대(5G) 특화망과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 ‘ARC’를 활용해 기존 건물을 미래형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다.

네이버랩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ARC와 5G 특화망 패키지를 내년까지 상용화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최근 완공된 네이버 제2 사옥 1784와 내년 완공 예정인 제2데이터센터 ‘각 세종’에 인공지능(AI), 클라우드, 5G, 디지털트윈 등 첨단 기술을 도입했다. 이를 상용화해 다른 건물도 미래형 공간으로 꾸밀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앞으로의 공간은 건물 이상으로 그 안에서 새로운 경험을 가능케 할 소프트웨어가 그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네이버랩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1784의 핵심인 ‘ARC Eye(아크아이)’와 ‘ARC Brain(아크브레인)’을 내년까지 상용화한다. 아크아이는 GPS가 통하지 않는 실내에서 현재 위치와 경로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사람의 눈과 같은 기능을 한다. 아크브레인은 모든 로봇의 이동, 측위, 서비스 수행을 일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뇌의 역할을 맡는다.

박원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의 5G 클라우드는 디바이스 간 초저지연 통신, 실시간 분석 및 처리, 실시간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며 “5G와 연계하면 우리가 지닌 클라우드 분야에서의 기술·비즈니스 역량이 더 커질 것이라는 확신과 자신감이 있었기에 ‘이음 5G’(5G 특화망) 1호 사업자로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이음 5G는 일반 기업이 5G 주파수를 활용해 직접 구축할 수 있는 맞춤형 네트워크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