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만명 '롱코비드' 대규모 조사…치료 가이드라인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피로감·우울·복통 등 200여 증상…이미 정식 질병으로 등록
한총리 "후유증 경험 많지만 기존 조사 미흡…정부 조사로 체계 분석" 정부가 '롱 코비드'(Long-Covid)로 불리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국민 1만여명 대상 대규모 조사를 실시하고 치료·관리를 위한 지침(가이드라인)을 만든다.
후유증 조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반여 동안 일부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소규모로만 실시된 바 있으며, 정부 차원의 대규모 조사를 토대로 더욱 체계적인 분석을 한다는 목표다.
올해 하반기에 대규모 조사에 본격 착수하고 중간 분석을 거쳐, 내년 상반기 가이드라인이 나올 전망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그동안 많은 분이 코로나19 후유증을 경험하고 계시지만 제대로 된 조사는 미흡했다"며 "이에 정부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원인·증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방역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롱 코비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돼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두통, 인지 저하, 피로감, 호흡곤란, 탈모, 우울·불안, 두근거림, 생리주기 변동, 근육통 등 200여개의 다양한 증상이 롱 코비드의 증상으로 보고됐다.
후유증 지속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다수 확진자는 후유증을 회복하지만 20% 안팎의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한다.
특별한 치료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고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가 권고된다.
롱 코비드는 국내외 다수 연구 결과로 확인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앞서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립중앙의료원, 경북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료원과 함께 각각 실시한 후유증 조사 결과에서 피로감·호흡곤란·건망증·수면장애·기분장애 등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자의 20∼79%가 후유증을 겪었다고 답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이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확진 입원 환자 47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최장 19개월까지 피로(31.7%), 운동시 호흡 곤란(17.1%) 등이 관찰됐다.
경북대병원 연구에서는 2020년 2∼3월에 확진 이후 내원한 환자 170명 중 129명(75.9%)이 12개월 이후까지 1개 이상의 후유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64명은 21개월이 지난 시점까지도 건망증·피로감·수면장애가 이어졌다고 답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 19.1%가 후유증으로 의료 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존 국내 연구·조사는 주로 기저질환자나 중환자, 입원환자 중심으로 이뤄졌고 표본이 작았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정부가 실시하는 조사는 기저질환이 없는 일반 성인을 포함해서 이뤄진다. 전국 단위 대규모 조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표준화한 정말 자료를 확보하고 가이드라인까지 만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에 후유증 조사 중간 결과를 분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지난 3월 말 코로나19 후유증 대규모 조사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을 때에는 조사 대상이 1천여명이었다.
이후 새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조사 대상을 1만여명으로 대폭 늘리고 가이드라인까지 만든다고 '코로나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을 통해 제시한 바 있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상병코드(의료기관 질병코드)가 이미 만들어져 있다"며 "질병청을 중심으로 세부 추적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한총리 "후유증 경험 많지만 기존 조사 미흡…정부 조사로 체계 분석" 정부가 '롱 코비드'(Long-Covid)로 불리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국민 1만여명 대상 대규모 조사를 실시하고 치료·관리를 위한 지침(가이드라인)을 만든다.
후유증 조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반여 동안 일부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소규모로만 실시된 바 있으며, 정부 차원의 대규모 조사를 토대로 더욱 체계적인 분석을 한다는 목표다.
올해 하반기에 대규모 조사에 본격 착수하고 중간 분석을 거쳐, 내년 상반기 가이드라인이 나올 전망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그동안 많은 분이 코로나19 후유증을 경험하고 계시지만 제대로 된 조사는 미흡했다"며 "이에 정부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원인·증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방역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롱 코비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돼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두통, 인지 저하, 피로감, 호흡곤란, 탈모, 우울·불안, 두근거림, 생리주기 변동, 근육통 등 200여개의 다양한 증상이 롱 코비드의 증상으로 보고됐다.
후유증 지속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다수 확진자는 후유증을 회복하지만 20% 안팎의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한다.
특별한 치료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고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가 권고된다.
롱 코비드는 국내외 다수 연구 결과로 확인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앞서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립중앙의료원, 경북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료원과 함께 각각 실시한 후유증 조사 결과에서 피로감·호흡곤란·건망증·수면장애·기분장애 등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자의 20∼79%가 후유증을 겪었다고 답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이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확진 입원 환자 47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최장 19개월까지 피로(31.7%), 운동시 호흡 곤란(17.1%) 등이 관찰됐다.
경북대병원 연구에서는 2020년 2∼3월에 확진 이후 내원한 환자 170명 중 129명(75.9%)이 12개월 이후까지 1개 이상의 후유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64명은 21개월이 지난 시점까지도 건망증·피로감·수면장애가 이어졌다고 답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 19.1%가 후유증으로 의료 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존 국내 연구·조사는 주로 기저질환자나 중환자, 입원환자 중심으로 이뤄졌고 표본이 작았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정부가 실시하는 조사는 기저질환이 없는 일반 성인을 포함해서 이뤄진다. 전국 단위 대규모 조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표준화한 정말 자료를 확보하고 가이드라인까지 만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에 후유증 조사 중간 결과를 분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지난 3월 말 코로나19 후유증 대규모 조사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을 때에는 조사 대상이 1천여명이었다.
이후 새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조사 대상을 1만여명으로 대폭 늘리고 가이드라인까지 만든다고 '코로나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을 통해 제시한 바 있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상병코드(의료기관 질병코드)가 이미 만들어져 있다"며 "질병청을 중심으로 세부 추적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