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냈는데 그냥 가면 어때서요"…펜션 뒷정리 '갑론을박'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펜션 사장들 뒤처리에 '경악'
"정신 나간 손놈들" 비판
네티즌 갑론을박
"방값에 포함" vs "정리는 기본"
"정신 나간 손놈들" 비판
네티즌 갑론을박
"방값에 포함" vs "정리는 기본"
"정신 나간 손놈들, 폭탄을 터트렸나…" - 펜션 업주
"호텔도 청소하고 가란 얘기는 안 해요" - 손님
일부 펜션 방문객들이 설거지 등 뒤처리를 하지 않은 채 객실을 빠져나가 펜션 업주들이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몇몇 펜션 업주들은 이같은 손님을 '손놈'으로 비하하며 분노했고,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도 "개념이 없다"고 공분했다. 다만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펜션 청소는 객실료에 다 포함된 거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 7일 경기도 가평에서 15년째 펜션을 운영 중이라고 밝힌 A 씨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인터넷에서만 보던 펜션, 엉망진창 객실이 저희 펜션에도 일어났다"고 운을 뗐다.
A 씨는 성인 4명과 아이 2명으로 구성된 두 가족이 객실 사용 후 '몸'만 빠져나갔다면서 처참한 상태의 객실 사진을 찍어 올렸다.
사진을 보면 객실 내부와 테라스 바비큐장은 소주병과 종이컵, 각종 음식물 쓰레기들로 빼곡했다. 사용한 이불도 정리가 안 돼 있었고, 심지어는 담배꽁초도 널브러져 있다. 지난달 1일에도 자영업자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펜션 업주 B 씨가 올린 '정신 나간 손놈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손놈'은 손님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B 씨 역시 뒤처리가 전혀 되지 않은 객실에 분노한 상태였다.
B 씨가 찍어 올린 사진에도 음식을 먹고 정리하지 않아 쓰레기가 방치된 모습이 담겼다. 이불과 쓰레기가 한 데 뒤섞여 있기도 했다.
B 씨는 침대와 이불에 대변을 보고 간 커플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일 충격이었던 건 침대 패드에 설사하고 간 커플이었는데, 이불은 바로 뭉쳐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렸다"고 했다.
이같은 사연 아래에는 늘 네티즌들 간의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대다수 네티즌은 "본인들 집은 이러지 않을 것", "예의와 교양도 차려야 한다", "손님이 왕 대접받으려면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내 집 아니고 내 물건 아니라는 생각하면 안 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이미 객실료에 뒷정리, 청소 등 봉사료가 포함된 게 아니냐는 불만도 나왔다. 한 네티즌은 "솔직히 비싼 펜션은 방값만 50만 원에 달하는데 분리수거해서 버려주고 이불도 개야 하고, 설거지도 다 해놓고 가야 하나. 그럼 당신(펜션 업주)들은 대체 뭐 하는 거냐"며 "돈은 우리가 내면서 온갖 청소, 잡일 다 손님이 하고 가면 그게 뭐냐"고 했다.
이어 "사진처럼 저 정도는 심하지만, 손님한테 다 치우고 가라고 좀 하지 말라"며 "아니면 싸게라도 받던가. 몇몇 펜션들보다도 싼 5성급 호텔도 청소하고 가란 얘기는 안 한다. 이건 내 돈 주고 숙박하면서 온갖 잡일 다 해주고 오는 기분"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갑론을박에 인천 강화도에서 펜션을 운영하는 C 씨는 한경닷컴과 통화에서 "요즘은 대부분의 손님이 정리를 잘 해주고 가지만, 정말 방을 엉망으로 만들고 가는 분들도 간혹 있다"며 "펜션 입장에서도 객실 청소나 침구류 세탁을 업체에 맡기면 편하겠지만, 그렇게 하는 사장님들도 잘 없을뿐더러 이 비용은 다시 또 고스란히 펜션비에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풀빌라 펜션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가격대가 있겠지만, 일반 펜션을 운영하는 입장으로서 요즘 펜션이 비싸다는 말은 동의하기 어렵다"며 "업주들은 손님에게 새집 같은 청소나 뒷정리를 바라는 게 아니다. 쓰레기만 분리해서 한 곳에 모아주면 나머지 청소는 저희가 한다"고 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호텔도 청소하고 가란 얘기는 안 해요" - 손님
일부 펜션 방문객들이 설거지 등 뒤처리를 하지 않은 채 객실을 빠져나가 펜션 업주들이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몇몇 펜션 업주들은 이같은 손님을 '손놈'으로 비하하며 분노했고,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도 "개념이 없다"고 공분했다. 다만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펜션 청소는 객실료에 다 포함된 거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 7일 경기도 가평에서 15년째 펜션을 운영 중이라고 밝힌 A 씨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인터넷에서만 보던 펜션, 엉망진창 객실이 저희 펜션에도 일어났다"고 운을 뗐다.
A 씨는 성인 4명과 아이 2명으로 구성된 두 가족이 객실 사용 후 '몸'만 빠져나갔다면서 처참한 상태의 객실 사진을 찍어 올렸다.
사진을 보면 객실 내부와 테라스 바비큐장은 소주병과 종이컵, 각종 음식물 쓰레기들로 빼곡했다. 사용한 이불도 정리가 안 돼 있었고, 심지어는 담배꽁초도 널브러져 있다. 지난달 1일에도 자영업자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펜션 업주 B 씨가 올린 '정신 나간 손놈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손놈'은 손님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B 씨 역시 뒤처리가 전혀 되지 않은 객실에 분노한 상태였다.
B 씨가 찍어 올린 사진에도 음식을 먹고 정리하지 않아 쓰레기가 방치된 모습이 담겼다. 이불과 쓰레기가 한 데 뒤섞여 있기도 했다.
B 씨는 침대와 이불에 대변을 보고 간 커플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일 충격이었던 건 침대 패드에 설사하고 간 커플이었는데, 이불은 바로 뭉쳐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렸다"고 했다.
이같은 사연 아래에는 늘 네티즌들 간의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대다수 네티즌은 "본인들 집은 이러지 않을 것", "예의와 교양도 차려야 한다", "손님이 왕 대접받으려면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내 집 아니고 내 물건 아니라는 생각하면 안 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이미 객실료에 뒷정리, 청소 등 봉사료가 포함된 게 아니냐는 불만도 나왔다. 한 네티즌은 "솔직히 비싼 펜션은 방값만 50만 원에 달하는데 분리수거해서 버려주고 이불도 개야 하고, 설거지도 다 해놓고 가야 하나. 그럼 당신(펜션 업주)들은 대체 뭐 하는 거냐"며 "돈은 우리가 내면서 온갖 청소, 잡일 다 손님이 하고 가면 그게 뭐냐"고 했다.
이어 "사진처럼 저 정도는 심하지만, 손님한테 다 치우고 가라고 좀 하지 말라"며 "아니면 싸게라도 받던가. 몇몇 펜션들보다도 싼 5성급 호텔도 청소하고 가란 얘기는 안 한다. 이건 내 돈 주고 숙박하면서 온갖 잡일 다 해주고 오는 기분"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갑론을박에 인천 강화도에서 펜션을 운영하는 C 씨는 한경닷컴과 통화에서 "요즘은 대부분의 손님이 정리를 잘 해주고 가지만, 정말 방을 엉망으로 만들고 가는 분들도 간혹 있다"며 "펜션 입장에서도 객실 청소나 침구류 세탁을 업체에 맡기면 편하겠지만, 그렇게 하는 사장님들도 잘 없을뿐더러 이 비용은 다시 또 고스란히 펜션비에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풀빌라 펜션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가격대가 있겠지만, 일반 펜션을 운영하는 입장으로서 요즘 펜션이 비싸다는 말은 동의하기 어렵다"며 "업주들은 손님에게 새집 같은 청소나 뒷정리를 바라는 게 아니다. 쓰레기만 분리해서 한 곳에 모아주면 나머지 청소는 저희가 한다"고 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