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이재명계와 친문재인계가 치열한 수싸움을 벌이고 있다. 당 대표 선거규칙을 더 유리한 방향으로 바꿔 당권을 장악하기 위해서다. 당대표 출마가 유력한 이재명 의원 측은 당대표 선거에서 권리당원의 반영 비중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의 기존 주류인 친문재인계에서는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주장한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의원을 지지하는 당내 개혁 성향 의원들은 당헌당규가 당 대표 선출과 관련해 중앙대의원단에 지나친 권한을 부여한다며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김용민 의원은 지난 9일 페이스북에서 “당의 주인인 당원이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며 “권리당원의 비중을 더 높이는 방향으로 당헌을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라 민주당 당대표 선거는 1차적으로 중앙대의원의 투표로 예비경선(컷오프)을 치르고 본투표에서는 전국대의원(45%)과 권리당원(40%), 국민 여론조사(10%), 일반당원(5%)이 표를 행사한다.

친문재인계는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당 지도부를 구성하고자 하는 모든 후보를 대상으로 투표를 해 1위 후보가 당 대표가 되고, 다른 상위 득표자들이 함께 지도부를 꾸리는 방식이다. 당내 다양한 계파가 지도부에 입성할 수 있어 특정 인물이나 계파가 독주할 수 없도록 견제하는 것이 목표다. 이 같은 주장은 9일 열린 재선의원 간담회에서 친문 의원을 중심으로 등장했다.

지도부 선출과 관련된 규칙 논란은 정치적 철학보다는 현실적인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재명계는 대선 이후 ‘개딸’로 대표되는 강성 당원 지지층을 획득했지만, 대의원단에 속한 민주당 주요 인사 사이에서는 지지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같은 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당원 투표 반영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지금은 당대표를 견제하기 위한 집단지도체제를 요구하고 있는 친문계도 당원 지지세가 높을 때는 권리당원의 투표권 확대를 추진한 바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대표이던 2015년 ‘직접민주주의의 확대’를 명분으로 대표의 권한 강화 등을 추진했던 것이 대표적이다.

당대표 선거 규칙은 10일 중앙위원회에서 구성이 확정된 비상대책위원회가 결정한다.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룰 변경 요구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당이 가진 여러 규칙은 오랜 역사 속에서 정립돼온 것”이라며 “민의를 더 잘 반영하자는 취지는 좋지만, 현저하게 (후보들의) 유불리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한쪽 편을 들기 쉽지 않다”고 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