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99.30301416.1.jpg)
10일(현지시간) 미국 건강의학 웹진 헬스데이에 따르면 미국 애리조나대 연구진은 최근 펜실베이니아주의 성인 직장인 1007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과 만족도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수면의 질과 만족도가 높았던 건 성인 파트너와 함께 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혼자 자는 사람들보다 더 빨리 잠에 들었고, 수면 시간도 길었다.
아울러 수면 무호흡즈에 걸릴 위험도 적었고, 우울증, 불안감, 스트레스 등 수준도 모두 낮았다.
반면 아이와 같은 침대에서 잠을 잔 사람들은 수면 무호흡증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았고, 불면증, 스트레스도 심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99.30301418.1.jpg)
라파엘 펠라요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는 과거 인류가 무리 지어 잠을 전 역사를 언급하면서 "잠은 학습된 행동"이라며 "함께 잠을 자는 것은 경계를 늦추고 몇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것이기에 친밀한 경험이며 커플 간에는 깨어 있을 때만 아니라 수면에서도 잘 어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열린 '전문수면학회(APSS)'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