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등가성 고려, 시대 흐름에 맞게 변할 부분은 변해야"
"당의 근간은 대의원…시대 흐름 바뀌어도 당 주인은 있어야"
안규백 "대의원제 폐지 반대"…권리당원표 비중 변화 여지열어둬
더불어민주당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인 안규백 의원은 13일 "대의원 제도를 폐지하자는 주장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의 반영 비율 등 전대 규칙을 두고 이같이 밝혔다.

안 위원장은 "당의 근간은 당원과 대의원이며 시대 흐름이 바뀌어도 당의 주인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의원 제도는 우리 당의 기본 정신"이라고 말했다.

친이재명계를 비롯한 당내 일각에서 대의원의 표가 권리당원에 비해 지나치게 비중이 크다면서 대의원제도의 폐지까지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에 선을 긋는 발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안 위원장은 그러면서도 대의원 표와 권리당원 표 '1표'의 영향력이 너무 크게 차이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완전히 선을 긋지는 않았다.

안 위원장은 "표의 등가성 문제는 시대적 흐름과 정신에 맞게 변화할 부분이 있다면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그 근간을 흔들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대의원 제도 폐지에는 반대하나 당 안팎의 여론에 따라 필요하면 미세조정은 가능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의 비율로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다.

최근에는 권리당원이 늘어나며 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대의원제 폐지 등을 통해 권리당원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이에 대해 친문(친문재인) 의원들은 전당대회에 당면해 룰에 크게 손을 대서는 안된다고 맞서고 있다.

안 위원장은 "균형감각을 갖고 모든 세력을 다 아울러 게임 규칙을 짤 생각"이라며 "전준위 분과 위주로 논의하되 다양한 세력도 만나고, 우리 당의 정체성과 가치를 세우려고 한다"고 말했다.

전준위는 위원 구성을 완료한 후 한 달여 기간 동안 대의원-권리당원-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비롯해 전대 규칙을 논의하기로 했다.

후보 등록은 다음 달 중순경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