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문화·관광·탄소 분야 발전 주도, 국가예산 6조→9조원 견인
재임기간 인구·소득 전국 최하위권 맴돌아, '전북 몫 찾기'도 요원
사람과 돈 다잡겠다던 전북도정 8년…'두 마리 토끼' 무리였나
"사람과 돈이 모이는 300만 시대를 열겠다.

"
시작은 창대했다.

2014년 6월 더불어민주당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당선된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장밋빛 청사진을 여러 장 그려냈다.

아득히 멀어 보였던 도민 소득 4천만원과 인구 300만명을 달성하겠단 공언은 풀죽은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기 충분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제 임기를 보름 남짓 남겨둔 민선 6∼7기 전북도정은 이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가장 최근 자료인 2020년 국세청 연말정산 결과를 기반으로 전북지역 노동자 평균 연 소득은 3천400만원으로 제주(3천270만원)를 제외하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전북도가 염원했던 소득 4천만원은 공무원이 지역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세종과 수도 서울, 대기업 공장이 즐비한 울산 정도만 달성했다.

인구 또한 지난달 기준으로 목표치의 60%에도 못 미치는 177만9천230명에 그쳤다.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180만 인구가 무너지면서 민선 6기 임기 초반보다도 10만명 가까이 빠졌다.

사람과 돈 다잡겠다던 전북도정 8년…'두 마리 토끼' 무리였나
민선 7기 들어서는 요원한 목표를 자각한 듯 '전북 몫 찾기'로 궤도를 틀었다.

호남에서도 광주와 전남에 밀려 변방으로 전락한 전북을 배려해달라는 호소를 여러 차례 중앙정부에 전달했다.

간절한 외침이 전해졌는지 이 부분에서는 진전이 있었다.

임기 초반 6조원대였던 국가 예산을 지난해 9조원 가까이 끌어올렸고, 새만금 국제공항을 비롯한 사회간접자본(SOC) 추진에도 속도를 붙였다.

바다를 메운 거대한 땅덩어리에 불과했던 새만금을 사람과 자본이 오가는 산업 현장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굵직한 대기업 유치는 미미했으나 기술력을 갖춘 중견·중소기업들이 새만금 산단에 속속 둥지를 틀었다.

송 지사가 임기내내 적극 투자를 아끼지 않은 탄소와 생태·문화·관광분야에서는 의미있는 발전도 있었다.

하지만 나름의 성과에도 제 몫을 오롯이 찾아왔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이 기간에 타 시도는 '메가시티'라는 비약적 지역 발전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 뭉쳤고, 사정이 엇비슷하다고 여겼던 강원도는 특별자치도 승격을 눈앞에 뒀다.

중앙 정부의 집중적 투자로 괄목한 성장을 보인 타 시도와 견줘 전북도가 제 몫을 다했다고 보는 도민은 드물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민선 8기 전북도정을 이끌겠다며 출마한 후보들이 하나같이 낙후된 지역 현실을 타개하겠다고 외친 것만 봐도 그랬다.

이전에도, 또 그 이전에도 도백을 꿈꾸는 이들이 선택을 받기 위해 똑같이 외쳤던 구호였다.

사람과 돈을 모으겠다고 약속했던 민선 6∼7기가 저물어가는 와중에도 '낙후'라는 꼬리표는 어김없이 선거판에 등장했다.

사람과 돈 다잡겠다던 전북도정 8년…'두 마리 토끼' 무리였나
3선 도전을 선언했다가 '컷오프'라는 시련을 겪은 송 지사 또한 냉정한 현실을 솔직하게 복기했었다.

그는 지난 3월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전북은 산업화의 뒷전에 서 있어 경제 체질이 허약하고 산업 생태계가 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로 인해 경제지표가 최하위를 맴돌았다"고 산업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전북도 입장에선 장장 2년 넘게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와 군산 조선소 가동 중단, GM 군산공장 폐쇄 등이 못내 아쉬울 법했다.

새만금 내부 발전을 발판삼아 경제적 도약을 이루려던 꿈이 대내외적 악재 속에 번번이 좌절됐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난 전북도정 8년 동안 목표했던 사람과 돈은 끝내 모이지 않았다.

되레 인구수 감소와 지방소멸 우려, 조선·자동차 산업 붕괴 위기 등 민선 8기에 풀어야 할 어려운 숙제들만 적지 않게 쌓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