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서 가결…반포동 삼호가든5차 재건축 계획도 통과
일제강점기 지어진 국내 최고령 '충정아파트' 철거된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인 '충정아파트'가 철거된다.

서울시는 15일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마포로5구역 정비계획안이 수정 가결됐다고 16일 밝혔다.

서대문구 충정로3가에 있는 충정아파트는 일제강점기인 1937년(서울시 건축물대장 기준) 준공된 국내 최고령 아파트다.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진 국내 최초의 아파트로, 1932년에 지어졌다는 기록도 있다.

이 아파트는 일제강점기에는 건립자 도요타 다네오(豊田種松)의 이름을 따서 '도요타아파트'로 명명됐다가 1970년대에 '유림아파트'로, 그 이후엔 지금의 '충정아파트'로 바뀌었다.

층수만 본래 4층에서 5층으로 증축됐을 뿐 80여년간 한 자리를 지켜왔다.

애초 이 아파트는 박원순 전 시장 재임 당시 지역 유산을 지키는 차원에서 보존하는 것으로 결정됐으나 안전 문제와 주민 갈등 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철거하게 됐다.

시는 대신 같은 위치에 충정아파트의 역사성을 담은 공개공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일제강점기 지어진 국내 최고령 '충정아파트' 철거된다
인근 충정각은 보존을 고려한 개발이 가능하도록 보전정비형 정비수법이 적용된다.

1900년대 초 건립된 충정각은 서울에 남은 서양식 건축물 가운데 유일하게 첨탑(터렛)이 있고, 원형도 잘 유지돼 보존 필요성을 인정받았다.

시는 아울러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지 40년이 지난 마포로5구역의 정비계획을 재정비해 충정로와 서소문로 간 도로가 연계되도록 했다.

마포로5구역의 구체적 사업계획은 향후 주민제안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전날 회의에서는 서초구 반포동 삼호가든5차 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도 수정 가결됐다.

이번 결정으로 1986년 준공된 이 아파트는 종전 3개 소형단지 총 168세대에서 최고 35층 이하 317세대(장기전세주택 46세대 포함) 규모 공동주택 단지로 거듭난다.

용적률은 300% 이하가 적용된다.

도봉구 초안산근린공원 일부를 해제해 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도시관리계획안도 원안대로 가결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