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V 300%가 말이 되냐"…디파이 정조준한 BIS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디파이는 금융발전에 역행"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99.21072926.1.jpg)
!["LTV 300%가 말이 되냐"…디파이 정조준한 BIS](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68989.1.png)
BIS의 비판 포인트는 디파이의 ‘익명성’이다. 대출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용도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BIS는 “핀테크의 경우 차주의 신용도를 여러 비금융 데이터를 통해 기존 금융권보다 정교하게 평가하면서 금융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며 “디파이는 이와 정반대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라고 비판했다.
디파이 대출은 익명성 때문에 ‘코인담보대출’로만 가능하다. BIS는 담보로 맡긴 암호화폐도 실물자산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을 뿐더러 담보인정비율(LTV)의 4배까지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통상 디파이 대출 서비스의 최대 담보인정비율(LTV)은 66%~83% 수준이라는 게 BIS의 분석이다.
![BIS 보고서에 담긴 분석](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68995.1.png)
그러면서 “대출은 실물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코인으로만 내줘야한다”며 “익명성도 포기하고 규제권 우산 아래에서 개인 신용점수에 근거해 대출을 해야한다”고 권고했다.
![작년 11월 예치금이 2495억달러에 달했던 디파이는 현재 686억달러까지 쪼그라들었다. 출처=Defilama](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68988.1.png)
초기 ICO(코인 발행) 비중이 50%에 달하는 바이낸스USD와 솔라나(48%), 테라(46%) 등 상당수 코인이 익명의 검증인 중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불공정거래가 발생하는 이유는 모두 채굴자들과 검증인들의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