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상무 "철강 탄소중립 정책 실현, 국가발전의 원동력 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日, 수소환원제철 전폭 지원
포스코, 시험공장 2028년 준공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목표
포스코, 시험공장 2028년 준공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목표
“미국과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이산화탄소 대신 물을 배출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정부 차원의 범국가적 기술개발(R&D) 지원이 요구됩니다.”
김희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상무(사진)는 2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철강업체들의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석탄을 태워 쇳물을 만드는 용광로(고로) 공정을 수소로 쇳물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공정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포스코는 국내 기업 가운데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꼽힌다. 2017~2019년 평균 탄소배출량이 7880만t에 이른다.
이 회사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배출량-흡수량)을 제로(0)까지 만드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지난해 10월 세웠다. 2030년 사업장 감축 10%를 비롯해 탄소량을 2017~2019년 대비 20%가량을 감축하고, 2040년까지 50%를 줄일 계획이다.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지난 3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탄소중립위원회를 신설하고 회사 전 부문에서 수립한 탄소중립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 회사의 탄소중립 전략 설계를 주도하는 김 상무는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국책과제로 2028년 수소환원제철 시험 공장(데모플랜트)을 준공할 것”이라며 “수소환원제철소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제로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철강사들은 정부 지원을 받아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이 조속히 국책 사업으로 선정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책과제로 선정되려면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야 한다. 현재 국책사업 예타심의는 당초 5월 계획이었으나, 8월 이후 심의될 것으로 생각된다.
김 상무는 “올해 5월 완료 예정이었던 철강 국책사업의 예타가 미뤄지면서 관련 예산 편성 작업도 더뎌지고 있다”며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속도가 1~2년가량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소중립 제철 기술을 개발하는 주요국에 비해 뒤처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연합(EU),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이 높아지는 데 대한 우려도 컸다. 그는 “한국도 저탄소 기술 개발을 비롯한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한국의 배출권거래제(ETS)로 거래되는 탄소배출 권리가 미국과 EU에서도 동등하게 적용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힘써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김희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상무(사진)는 2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철강업체들의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석탄을 태워 쇳물을 만드는 용광로(고로) 공정을 수소로 쇳물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공정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포스코는 국내 기업 가운데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꼽힌다. 2017~2019년 평균 탄소배출량이 7880만t에 이른다.
이 회사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배출량-흡수량)을 제로(0)까지 만드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지난해 10월 세웠다. 2030년 사업장 감축 10%를 비롯해 탄소량을 2017~2019년 대비 20%가량을 감축하고, 2040년까지 50%를 줄일 계획이다.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지난 3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탄소중립위원회를 신설하고 회사 전 부문에서 수립한 탄소중립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 회사의 탄소중립 전략 설계를 주도하는 김 상무는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국책과제로 2028년 수소환원제철 시험 공장(데모플랜트)을 준공할 것”이라며 “수소환원제철소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제로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철강사들은 정부 지원을 받아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이 조속히 국책 사업으로 선정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책과제로 선정되려면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야 한다. 현재 국책사업 예타심의는 당초 5월 계획이었으나, 8월 이후 심의될 것으로 생각된다.
김 상무는 “올해 5월 완료 예정이었던 철강 국책사업의 예타가 미뤄지면서 관련 예산 편성 작업도 더뎌지고 있다”며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속도가 1~2년가량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소중립 제철 기술을 개발하는 주요국에 비해 뒤처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연합(EU),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이 높아지는 데 대한 우려도 컸다. 그는 “한국도 저탄소 기술 개발을 비롯한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한국의 배출권거래제(ETS)로 거래되는 탄소배출 권리가 미국과 EU에서도 동등하게 적용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힘써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