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아파트 청약 '뜻밖의 호황'…건설사 직원들도 변했다 [돈앤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파트 분양팀, 짐 싸서 지방 가세요"…더이상 좌천 아닌 이유
지방 비규제지역, 수도권 대비 청약 선방
규제 적고 전매기간 짧아 투자자들 몰려
전매없는 지방 비규제지역 웃돈 수천만원 붙기도
"불확실한 부동산 시장에 그나마 나은 투자"로 각광
지방 비규제지역, 수도권 대비 청약 선방
규제 적고 전매기간 짧아 투자자들 몰려
전매없는 지방 비규제지역 웃돈 수천만원 붙기도
"불확실한 부동산 시장에 그나마 나은 투자"로 각광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99.30376776.1.jpg)
부동산 분양시장에서 지방 비규제지역이 주목받으면서 현장 실무자들의 분위기도 달라지고 있다. 작년초만 하더라도 '문만 열면 완판'이었던 서울·수도권의 분양열기는 이제 주춤해진 반면, 지방 아파트 분양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으로 인사가 나면 "지방으로 돌리는 좌천 아니냐"는 분위기였지만 이제는 "한번 다녀오지" 정도로 완화됐다는 게 현장에서의 얘기다.
청약자들이 몰린 까닭은 '불확실한 시장에서 짧은 시간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시장 안팎에서는 금리인상과 대외환경 불확실성 등으로 자산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규제지역으로 묶인 지역은 투기과열지구 49곳, 조정대상지역 111곳 등에 달한다. 규제지역으로 묶이게 되면 소유권 이전등기일까지 전매가 제한된다. 보통 아파트가 분양에서 입주까지의 기간은 3년 내외가 소요된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ZN.30344796.1.jpg)
때문에 전매 금지 기간이 짧거나 아예 없는 지역인 지방에서 이뤄지는 청약은 의외의 호황을 맞고 있다. 비규제지역의 경우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 제약도 덜해 대출이 최대 70%까지 가능하다. 다주택자 등의 경우 규제지역 대비 양도세를 비롯해 취득세, 종부세 등 각종 부동산 세금을 절감할 수 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불확실성이 강화된 최근 시장에서는 계약 직후 전매가 가능한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전매제한은 아파트의 높은 환금성을 제한하는 장벽으로 작용하는데다 시장 상황 변동에 따른 빠른 대응이 불가능하고 계약금과 중도금, 잔금 등 목돈이 장기간 묶이다보니 청약자들에게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