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용어 허상" 31세 행정관 보고에…尹 "청년희생 구조 안돼"(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尹 "청년 목소리로 보고 듣고싶어"…여명, '여성모병제'도 제안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자신이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정무수석실 소속 여명(31) 행정관에게 청년정책 관련 보고를 받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청년이슈 관련해 현장에서 청년들 목소리를 듣고 있는데, 이번에도 청년의 목소리로 직접 보고를 듣고 싶어 했다"며 "1990년대생 행정관이 오늘 상당히 상세한 보고를 했다"고 말했다.
보고는 10여분간 이뤄졌다.
30대 행정관급이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직접 보고를 한 것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파격'으로 받아들여진다.
여 행정관은 보고에서 "90년대생 눈으로 볼 때 청년이란 용어가 허상에 가깝다"며 "청년 문제를 세대별로 나눠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 행정관은 "20대 여대생, 30대 워킹맘, 40대 싱글남, 군필, 취준생이 모두 청년인데 이렇게 너무나 다른 이들을 어떻게 한 단위로 묶어서 청년 정책이란 이름으로 지원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청년 정책이란 용어 자체가 10년동안 정치권에서 유행하면서 '청년수당' 등이 생겼는데, 이런 것들이 청년의 삶을 단 1도 나아지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번 대선을 기점으로 청년이 깨달았다"며 세대별 문제 해결 방식을 강조했다.
여 행정관은 청소년 시절 경제실물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산학 일체형 도제학교 집중 육성에 더해 평생교육 개념을 넣어야 한다.
대학은 가고 싶을 때 가도 된다.
생애 주기별로 직업 전문성을 강화해주는 식으로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 직군별 육아휴직 대체자 풀 상시 운용 ▲ 기성세대와 청년의 연금 부담률 형평성 조정 ▲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사회 관계성 회복 정책 등을 제안했다.
여 행정관은 지난 정부에서의 이른바 '인국공' 사태, '조국 사태' 등을 거론하며 "청년을 치열한 경쟁 사회에 내몰아놓고 국가가 경쟁 시스템에서 반칙을 저질렀다.
그 반칙을 없애달란 게 청년들의 요구"라고 덧붙였다.
보고를 들은 윤 대통령은 "문제 인식에 공감한다"며 "청소년 가정부터 경제 현실에 대한 실물 교육도 해야 하고, 성인이 돼서는 기성세대 혹은 기득권 노동자가 청년들을 희생시키는 구조로 가서는 안 된다"라고 반응했다.
이어 "일자리를 찾고 취직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기득권 노동자가 청년 노동자를 그런 식으로 다루는 게 청년 고민 중 가장 큰 근본적 이유"라며 "청년들이 힘든 이유는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가르쳐줄 수 없는 교육 제도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 행정관은 "병사 월급이 200만원으로 실현되면 여성들이 '우리도 책임지고 그만큼의 권한을 누리고 싶다'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으니, 그런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며 '여성 모병제'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 행정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때 나왔던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여성 징병제에 찬성하는 '이대녀'(20대 여성) 비율이 43%란 수치도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43%나 되느냐"며 취업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다만, 해당 제안은 단순히 아이디어 차원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였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서울시의원을 지낸 여 행정관은 지난해 국민의힘 대선 경선 레이스에서 홍준표 캠프의 대변인을 지낸 '친홍계' 출신 인사다.
/연합뉴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청년이슈 관련해 현장에서 청년들 목소리를 듣고 있는데, 이번에도 청년의 목소리로 직접 보고를 듣고 싶어 했다"며 "1990년대생 행정관이 오늘 상당히 상세한 보고를 했다"고 말했다.
보고는 10여분간 이뤄졌다.
30대 행정관급이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직접 보고를 한 것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파격'으로 받아들여진다.
여 행정관은 보고에서 "90년대생 눈으로 볼 때 청년이란 용어가 허상에 가깝다"며 "청년 문제를 세대별로 나눠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 행정관은 "20대 여대생, 30대 워킹맘, 40대 싱글남, 군필, 취준생이 모두 청년인데 이렇게 너무나 다른 이들을 어떻게 한 단위로 묶어서 청년 정책이란 이름으로 지원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청년 정책이란 용어 자체가 10년동안 정치권에서 유행하면서 '청년수당' 등이 생겼는데, 이런 것들이 청년의 삶을 단 1도 나아지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번 대선을 기점으로 청년이 깨달았다"며 세대별 문제 해결 방식을 강조했다.
여 행정관은 청소년 시절 경제실물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산학 일체형 도제학교 집중 육성에 더해 평생교육 개념을 넣어야 한다.
대학은 가고 싶을 때 가도 된다.
생애 주기별로 직업 전문성을 강화해주는 식으로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 직군별 육아휴직 대체자 풀 상시 운용 ▲ 기성세대와 청년의 연금 부담률 형평성 조정 ▲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사회 관계성 회복 정책 등을 제안했다.
여 행정관은 지난 정부에서의 이른바 '인국공' 사태, '조국 사태' 등을 거론하며 "청년을 치열한 경쟁 사회에 내몰아놓고 국가가 경쟁 시스템에서 반칙을 저질렀다.
그 반칙을 없애달란 게 청년들의 요구"라고 덧붙였다.
보고를 들은 윤 대통령은 "문제 인식에 공감한다"며 "청소년 가정부터 경제 현실에 대한 실물 교육도 해야 하고, 성인이 돼서는 기성세대 혹은 기득권 노동자가 청년들을 희생시키는 구조로 가서는 안 된다"라고 반응했다.
이어 "일자리를 찾고 취직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기득권 노동자가 청년 노동자를 그런 식으로 다루는 게 청년 고민 중 가장 큰 근본적 이유"라며 "청년들이 힘든 이유는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가르쳐줄 수 없는 교육 제도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 행정관은 "병사 월급이 200만원으로 실현되면 여성들이 '우리도 책임지고 그만큼의 권한을 누리고 싶다'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으니, 그런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며 '여성 모병제'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 행정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때 나왔던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여성 징병제에 찬성하는 '이대녀'(20대 여성) 비율이 43%란 수치도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43%나 되느냐"며 취업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다만, 해당 제안은 단순히 아이디어 차원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였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서울시의원을 지낸 여 행정관은 지난해 국민의힘 대선 경선 레이스에서 홍준표 캠프의 대변인을 지낸 '친홍계' 출신 인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