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 2030년까지 탄소배출 42% 감축…ESG 상품·대출 등 50조로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종규 KB금융 회장(오른쪽)과 토마스 앙커 크리스텐센 덴마크 기후대사가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KB금융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AA.30368453.1.jpg)
KB금융은 순차적으로 ESG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전사적 추진 동력을 확보해 왔다. 2020년 1월 그룹의 전 계열사가 함께 ‘ESG 이행원칙’을 선언했고 3월엔 금융사 최초로 이사회 내 ESG 경영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ESG위원회’도 신설했다. ESG위원회는 그룹 차원의 ESG전략과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 현황을 관리·감독하는 역할을 맡는다.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이달 탄소중립을 위한 글래스고 금융연합(GFANZ·Glasgow Financial Alliance for Net Zero)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자문위원으로 선임됐다. 금융을 통해 ‘넷 제로 경제’를 촉진하고 기후위기를 극복하고자 지난해 4월 설립된 GFANZ는 아·태지역의 중요성을 감안해 싱가포르에 사무소를 개설하고 자문위원회를 발족했다. 자문위는 라비 메논 싱가포르 중앙은행 총재, 엄우종 아시아개발은행(ADB) 사무총장, 진리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이사장 등 아·태지역 기후와 금융 분야 전문성과 대표성을 갖춘 인물들로 구성됐다.
윤 회장은 지난 9일엔 토마스 앙커 크리스텐센 덴마크 기후대사와 바이르 아이너 옌센 주한 덴마크 대사를 만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금융회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윤 회장은 “30년에 걸친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전환 경험과 한국의 첨단 기술이 만나 기후변화 대응에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KB금융은 이밖에도 자연 및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 최초로 ‘기업과 생물다양성 플랫폼(BNBP) 이니셔티브’에 가입했고 2018년 시작된 ‘KB국민의 맑은하늘 숲’ 조성 사업을 통해 몽골에 방풍림 2만6000주, 유실수 2만4000주를 심기도 했다.
KB금융은 올해 꿀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K-Bee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 옥상에 꿀벌 12만마리가 서식할 수 있는 도시 양봉장도 꾸몄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