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이창용 "빅스텝 여부, 물가·환율·이자부담 고려해 종합판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려""3분기 물가 정점 가능성…다만 불확실성 크다"
이 총재 두 번째 기자간담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우리나라의 '빅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에 대해 "환율과 가계 이자 부담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빅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지난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자, 미국과의 금리 차를 줄이기 위해 우리나라도 빅 스텝을 단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일각에서 나온 바 있다.
이 총재는 물가 정점 시기에 대해서는 "3분기에 물가가 정점에 이르지 않을까 하는 것이 시장의 견해"라면서도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불확실성은 크다"고 밝혔다.
그는 또 올 연말 금리 상단에 대한 관심이 커진 만큼 한은의 중립금리에 대한 질문이 여러 차례 나오자 "현재 금리는 중립금리보다 아래에 있는 것이 맞는다"면서 단 "한은이 생각하는 중립금리 수준을 명시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불가피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취임 후 두 번째로 이뤄진 기자 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한층 조심스러운 어조로 질의에 답하면서 오해 소지가 있을 만한 부분에 대해선 재차 설명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는 정부 등이 언급하고 있는 '복합 경제위기'에 대한 질문에 "위기가 지금 온다는 건 아니다"에 이어 "지금 당장 온다는 뜻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 일문일답.
-- 이달 물가가 5% 후반 또는 6% 초반을 기록하게 될 경우 7월 금통위가 빅 스텝 밟을 가능성이 있나.
▲ 빅스텝을 할 것이냐 아니냐는 것은 물가 하나만 보고 결정하는 게 아니다.
물가가 올랐을 때 우리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나 환율에 주는 영향도 봐야 한다.
또 우리나라는 변동금리부채권이 많기 때문에 가계 이자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금통위원들과 상의해 적절한 조합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달 금통위 이후 새로 발생한 정보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과 유가 추가 상승이다.
국내 상황은 크게 변화가 없다.
현재는 연준 결정 이후 시장이 새로운 정보에 적응하는 기간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물가가 6%를 넘을지 등을 예단하기는 이르다.
아직 다음 금통위 회의까지 3주 정도 시간이 있기 때문에 그사이 새로운 정보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를 보고 적절히 판단하겠다.
-- 금통위원들 사이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내외금리차가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는지.
▲ 내외금리차 자체의 어떤 수준을 꼭 방어해야 한다는 경제이론은 없다.
내외금리차가 우리나라에서만 생기는 것인지, 다른 주요국도 생기는 것인지, 환율과 자본 유출에 대한 영향은 어떤지 그때그때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
금리차가 얼마인지 그 자체에 대해 매달릴 상황은 아니다.
-- 물가 정점이 언제 올 것으로 예상하나.
▲ 앞서 물가가 2분기 말, 3분기 초 정점에 이르고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도 그런 패턴을 예상했지만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이전보다 높은) 8.6%를 기록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줬다.
물가 상승세가 좀 더 지속될 가능성을 보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물가가 3분기에 정점을 이를 것이라는 게 시장의 견해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떻게 되는지 등에 따라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 중립금리 이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판단하나.
한은이 생각하는 중립금리 수준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현재 금리가 중립금리보다 아래에 있다.
일단 중립금리 수준까지 가고, 물가가 계속 오르면 그 상황에서 여러 변수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견해엔 변화가 없다.
중립금리에 도달한 이후에도 금리를 안 올린다거나 올린다는 것을 예단하는 말은 아니다.
나도 학자 출신이지만 중립금리의 범위는 굉장히 넓다.
또 중립금리를 발표하면 마치 그 금리로만 간다고 잘못 생각할 수 있다.
시장을 무시하는 발언은 아니나 경제 비전문가에게 '중립금리가 이거다'라고 말하면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
한은 직원이 개인적으로 발표하는 연구 논문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시사할 수는 있더라도 직접적으로 통화정책 중 하나의 지표로 명시해 발표하는 건 시급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복합 경제위기'를 언급했다.
총재 견해는.
▲ 최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고,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커져 취약계층이라든지 소득불평등 등 문제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크니까, 그렇다고 아예 위기가 지금 온다는 건 아니지만, 금융안정에 주는 영향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 당장 (위기가) 온다는 뜻이 아니다.
환율, 자본유출, 취약계층에 대한 이자 부담 등이 다 복합됐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다.
위기의 성격이 복합적이어서 한은 금리나 기재부 재정정책, 금융당국의 감독 기능만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정책 조합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으로 알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재 두 번째 기자간담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우리나라의 '빅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에 대해 "환율과 가계 이자 부담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빅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지난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자, 미국과의 금리 차를 줄이기 위해 우리나라도 빅 스텝을 단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일각에서 나온 바 있다.
이 총재는 물가 정점 시기에 대해서는 "3분기에 물가가 정점에 이르지 않을까 하는 것이 시장의 견해"라면서도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불확실성은 크다"고 밝혔다.
그는 또 올 연말 금리 상단에 대한 관심이 커진 만큼 한은의 중립금리에 대한 질문이 여러 차례 나오자 "현재 금리는 중립금리보다 아래에 있는 것이 맞는다"면서 단 "한은이 생각하는 중립금리 수준을 명시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불가피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취임 후 두 번째로 이뤄진 기자 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한층 조심스러운 어조로 질의에 답하면서 오해 소지가 있을 만한 부분에 대해선 재차 설명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는 정부 등이 언급하고 있는 '복합 경제위기'에 대한 질문에 "위기가 지금 온다는 건 아니다"에 이어 "지금 당장 온다는 뜻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 일문일답.
-- 이달 물가가 5% 후반 또는 6% 초반을 기록하게 될 경우 7월 금통위가 빅 스텝 밟을 가능성이 있나.
▲ 빅스텝을 할 것이냐 아니냐는 것은 물가 하나만 보고 결정하는 게 아니다.
물가가 올랐을 때 우리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나 환율에 주는 영향도 봐야 한다.
또 우리나라는 변동금리부채권이 많기 때문에 가계 이자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금통위원들과 상의해 적절한 조합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달 금통위 이후 새로 발생한 정보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과 유가 추가 상승이다.
국내 상황은 크게 변화가 없다.
현재는 연준 결정 이후 시장이 새로운 정보에 적응하는 기간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물가가 6%를 넘을지 등을 예단하기는 이르다.
아직 다음 금통위 회의까지 3주 정도 시간이 있기 때문에 그사이 새로운 정보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를 보고 적절히 판단하겠다.
-- 금통위원들 사이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내외금리차가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는지.
▲ 내외금리차 자체의 어떤 수준을 꼭 방어해야 한다는 경제이론은 없다.
내외금리차가 우리나라에서만 생기는 것인지, 다른 주요국도 생기는 것인지, 환율과 자본 유출에 대한 영향은 어떤지 그때그때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
금리차가 얼마인지 그 자체에 대해 매달릴 상황은 아니다.
-- 물가 정점이 언제 올 것으로 예상하나.
▲ 앞서 물가가 2분기 말, 3분기 초 정점에 이르고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도 그런 패턴을 예상했지만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이전보다 높은) 8.6%를 기록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줬다.
물가 상승세가 좀 더 지속될 가능성을 보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물가가 3분기에 정점을 이를 것이라는 게 시장의 견해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떻게 되는지 등에 따라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 중립금리 이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판단하나.
한은이 생각하는 중립금리 수준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현재 금리가 중립금리보다 아래에 있다.
일단 중립금리 수준까지 가고, 물가가 계속 오르면 그 상황에서 여러 변수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견해엔 변화가 없다.
중립금리에 도달한 이후에도 금리를 안 올린다거나 올린다는 것을 예단하는 말은 아니다.
나도 학자 출신이지만 중립금리의 범위는 굉장히 넓다.
또 중립금리를 발표하면 마치 그 금리로만 간다고 잘못 생각할 수 있다.
시장을 무시하는 발언은 아니나 경제 비전문가에게 '중립금리가 이거다'라고 말하면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
한은 직원이 개인적으로 발표하는 연구 논문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시사할 수는 있더라도 직접적으로 통화정책 중 하나의 지표로 명시해 발표하는 건 시급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복합 경제위기'를 언급했다.
총재 견해는.
▲ 최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고,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커져 취약계층이라든지 소득불평등 등 문제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크니까, 그렇다고 아예 위기가 지금 온다는 건 아니지만, 금융안정에 주는 영향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 당장 (위기가) 온다는 뜻이 아니다.
환율, 자본유출, 취약계층에 대한 이자 부담 등이 다 복합됐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다.
위기의 성격이 복합적이어서 한은 금리나 기재부 재정정책, 금융당국의 감독 기능만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정책 조합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으로 알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