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루나 발행사인 테라폼랩스가 급격한 가격 하락을 미리 알고도 이를 숨긴 채 계속 신규 투자자를 모집한 정황이 포착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3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미국 투자자들은 이 같은 행위가 투자 위험성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객에게 금융 상품을 사라고 권유한 일종의 ‘불완전판매’라고 보고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미국 투자자들의 집단소송 민사 소장에 따르면 테라 시스템을 운영·조정하는 비영리단체 ‘루나파운데이션가드(LFG)’ 관리위원인 레미 테톳은 테라 폭락 이후 내놓은 분석자료에서 “우리는 (테라의) 앵커 프로토콜의 20% 이율이 지속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테라 시스템이 성장하면서 이율도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이율이)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도 “돌아보면 20%의 이율은 결과적으로 실수였다. 이는 (가격) 방어 메커니즘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테라의 수요를 너무 빠르게 증가시켰고, 이 같은 성장은 시스템이 조정될 시간을 주지 않고 취약성을 키웠다”고 전했다.

앵커 프로토콜이 정상적인 금융서비스가 아닌 ‘미끼 상품’이었다는 발언도 나왔다. 레미 테톳은 “20%의 수익률은 본질적으로 마케팅 예산과 고객 획득 비용이었다”라고 말했다. 이는 신규 투자자 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폰지 사기(돌려막기)’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테라폼랩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미국 투자자 닉 패터슨은 “새 투자자들이 계속 유입되지 않는다면 죽음의 소용돌이(테라와 루나가 서로의 가치를 끌어내리는 악순환)의 위험이 커진다는 것을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등이 처음부터 알고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투자자들은 고소장에 “피고들이 이런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것은 투자자들을 유입시켜 가상통화 가격을 부풀리고, 자신들이 보유한 가상통화를 팔아 상당한 이윤을 남기려고 의도했다는 것”이라며 “실제 이들은 수십억개의 루나를 시중에 팔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17일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권 대표와 테라폼랩스 법인, 루나파운데이션가드 등을 상대로 민사 소장을 접수했다.
"테라, 대폭락 징조 알고도 더 팔았다"...美 투자자 집단소송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양한나 블루밍비트 기자 sheep@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