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핫플' 된 강원 동해안…"자고 나면 호텔·리조트 또 생겨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5년간 양양·강릉 지역
숙박시설 인허가만 150여 개
KTX 등 교통 인프라 확충되고
거리두기 완화로 여행객 급증
서핑 인구 늘며 MZ세대 몰려
객실 가동률 6월에도 80% 육박
"향후 해외여행 본격화하면
국내여행 줄어 공급과잉 될 수도"
숙박시설 인허가만 150여 개
KTX 등 교통 인프라 확충되고
거리두기 완화로 여행객 급증
서핑 인구 늘며 MZ세대 몰려
객실 가동률 6월에도 80% 육박
"향후 해외여행 본격화하면
국내여행 줄어 공급과잉 될 수도"
‘상전벽해.’ 양양, 강릉, 속초 등 강원 동해안 주요 지역을 모처럼 다녀온 이들이 느끼는 변화를 요약한 말이다. “해가 바뀌면 지도도 변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서핑과 골프, 캠핑 등을 즐기려는 이들의 발길이 몰리고 있는 데다, 이들을 겨냥한 생활형숙박시설 등 수익형 건물들이 빠르게 들어서고 있어서다. 실제 5년 동안 양양과 강릉 지역에 인허가가 난 숙박시설만 150여 개에 달한다.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고속도로, KTX 등 교통 인프라가 확충된 가운데 코로나를 거치면서 ‘청정 지역’ 이미지가 굳어진 것도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과잉 공급 우려가 나오는 등 ‘아슬아슬한 일시적 호황’이라는 지적도 만만찮다.
죽도해변 끝자락에는 462개 객실, 지상 20층 규모의 생활형숙박시설 ‘오션스테이 양양’ 건물이 올라가는 중이다. 2020년 착공해 올가을 준공을 앞두고 있다. 맞은편에는 올해 초 착공한 생활형숙박시설 ‘웨이블런트 양양’(408개 객실, 지상 20층) 건축 공사가 한창이다. 인구해변 반대편 끝에선 호텔 코랄로(42개 객실, 지상 4층)도 착공에 들어갔다. 호텔 브리드는 지난해 죽도산 아래에 들어서 문을 열고 성업 중이다.
현남면에서 20년간 공인중개업을 했다는 G공인 관계자는 “최근 5년 새 서핑숍, 술집 등이 해수욕장 주변에 자리 잡기 시작했고 여행객들이 밀려오고 있다”며 “민박, 여관 등 동네 수요론 턱도 없을 정도의 숙박 수요가 생겼고, 대형 숙박시설이 우후죽순 들어서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강릉 송정해변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강릉 신라모노그램’이 공사에 들어갔다. 783개 객실 규모의 생활형숙박시설과 300개 객실 규모 호텔이 동시에 지어지며 ‘해변 관광 타운’을 조성하고 있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들에 따르면 워커힐호텔은 송정해변 바로 옆에 있는 안목해변 인근에 새 호텔을 짓기 위해 일부 부지를 사들였다. 속초시 조양동 일원에도 하운드 속초 블루스테이, 속초 하워드존슨 등 대규모 생활형숙박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속초시 땅값 상승률은 5.983%로 강원 지역 최고치를 기록했다.
양양, 강릉 등 동해안에 대형 숙박시설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것은 이곳이 최근 MZ세대의 새로운 여행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양양과 강릉은 서핑 마니아들의 성지로 손꼽힌다. 2017년 서울~양양 고속도로, KTX 강릉선(서울~강릉 구간) 등 교통 인프라가 확충된 게 발단이 됐다. 양양군에 따르면 양양군 내 서핑숍은 2015년 24개에서 지난해 85개로 급증했다.
서핑 인구 증가는 해변에 MZ세대 취향을 저격하는 음식점, 술집, 클럽 등이 들어서게 했다. 새로운 유형의 여행 문화가 형성되면서 양양은 물론 강릉, 속초로 비슷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호텔 브리드 객실 가동률은 극성수기인 지난해 7, 8월 각각 45.7%, 58.6%를 기록한 데 비해 올해는 준성수기인 6월에 이미 79.5%를 달성했다. 호텔 브리드 관계자는 “영업시간 제한이 풀리면서 놀거리가 많아졌고, 사람들이 더 몰리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호황을 누릴지는 미지수다. 시설포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양양에 운영되고 있는 생활형숙박시설은 11곳이다. 작년과 올해에만 인허가가 난 시설이 13개로 기존 숙박시설 숫자를 뛰어넘는다. 현재 인허가가 검토 중인 곳도 6곳에 달한다.
엔데믹이 본격화되면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국내 여행 수요 감소도 변수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속초, 양양, 강릉 등 동해안 도시들의 숙박시설 과잉 공급 우려가 감지되고 있다”며 “지자체들이 세원 문제로 공급 증대에만 매몰될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양·강릉=구민기/최진석 기자 kook@hankyung.com
◆호텔, 생활형숙박시설 ‘우후죽순’
24일 강원 양양군 현남면. 죽도산을 가운데 놓고 인접한 인구해변과 죽도해변 약 1㎞는 서핑족과 여행객들로 붐비는 동시에 공사현장이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이 구역에만 4개의 대규모 생활형숙박시설과 호텔이 공사를 진행 중이다.죽도해변 끝자락에는 462개 객실, 지상 20층 규모의 생활형숙박시설 ‘오션스테이 양양’ 건물이 올라가는 중이다. 2020년 착공해 올가을 준공을 앞두고 있다. 맞은편에는 올해 초 착공한 생활형숙박시설 ‘웨이블런트 양양’(408개 객실, 지상 20층) 건축 공사가 한창이다. 인구해변 반대편 끝에선 호텔 코랄로(42개 객실, 지상 4층)도 착공에 들어갔다. 호텔 브리드는 지난해 죽도산 아래에 들어서 문을 열고 성업 중이다.
현남면에서 20년간 공인중개업을 했다는 G공인 관계자는 “최근 5년 새 서핑숍, 술집 등이 해수욕장 주변에 자리 잡기 시작했고 여행객들이 밀려오고 있다”며 “민박, 여관 등 동네 수요론 턱도 없을 정도의 숙박 수요가 생겼고, 대형 숙박시설이 우후죽순 들어서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강릉 송정해변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강릉 신라모노그램’이 공사에 들어갔다. 783개 객실 규모의 생활형숙박시설과 300개 객실 규모 호텔이 동시에 지어지며 ‘해변 관광 타운’을 조성하고 있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들에 따르면 워커힐호텔은 송정해변 바로 옆에 있는 안목해변 인근에 새 호텔을 짓기 위해 일부 부지를 사들였다. 속초시 조양동 일원에도 하운드 속초 블루스테이, 속초 하워드존슨 등 대규모 생활형숙박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속초시 땅값 상승률은 5.983%로 강원 지역 최고치를 기록했다.
◆MZ세대 놀이의 ‘성지’로
양양군과 강릉시에 따르면 두 지역 숙박시설(호텔, 리조트, 생활형숙박시설 등) 인허가 건수는 2018년 22건에서 작년 34건으로 급증했다. 생활형숙박시설만 놓고 보면 2018년 5건에서 작년 9건으로 늘었다. 5월까지 수치임에도 올해는 벌써 10건을 넘어섰다. 양양군 관계자는 “2020년부터 2년간 인허가 건수가 급증했다”고 설명했다.양양, 강릉 등 동해안에 대형 숙박시설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것은 이곳이 최근 MZ세대의 새로운 여행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양양과 강릉은 서핑 마니아들의 성지로 손꼽힌다. 2017년 서울~양양 고속도로, KTX 강릉선(서울~강릉 구간) 등 교통 인프라가 확충된 게 발단이 됐다. 양양군에 따르면 양양군 내 서핑숍은 2015년 24개에서 지난해 85개로 급증했다.
서핑 인구 증가는 해변에 MZ세대 취향을 저격하는 음식점, 술집, 클럽 등이 들어서게 했다. 새로운 유형의 여행 문화가 형성되면서 양양은 물론 강릉, 속초로 비슷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지금이 정점”…과잉 공급 우려도
기대는 요즘 들어 더욱 커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며 젊은 층 유흥 문화가 주요한 콘텐츠로 자리 잡은 동해안에 여행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양양에서 대형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는 솔게스트하우스는 이달 주말 하루평균 300여 명의 손님을 받았다. 100여 명을 받았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하면 비약적인 증가다.호텔 브리드 객실 가동률은 극성수기인 지난해 7, 8월 각각 45.7%, 58.6%를 기록한 데 비해 올해는 준성수기인 6월에 이미 79.5%를 달성했다. 호텔 브리드 관계자는 “영업시간 제한이 풀리면서 놀거리가 많아졌고, 사람들이 더 몰리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호황을 누릴지는 미지수다. 시설포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양양에 운영되고 있는 생활형숙박시설은 11곳이다. 작년과 올해에만 인허가가 난 시설이 13개로 기존 숙박시설 숫자를 뛰어넘는다. 현재 인허가가 검토 중인 곳도 6곳에 달한다.
엔데믹이 본격화되면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국내 여행 수요 감소도 변수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속초, 양양, 강릉 등 동해안 도시들의 숙박시설 과잉 공급 우려가 감지되고 있다”며 “지자체들이 세원 문제로 공급 증대에만 매몰될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양·강릉=구민기/최진석 기자 k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