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규제, 철강·시멘트株에 직격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향후 1년 주가 전망…"최대 30% 하락할 것"
2030년 탄소감축 목표 상향으로
탄소배출권 가격 강세 지속 전망
재무부담 커지면서 주가 악영향
尹 정부 '속도조절' 기대감도
무상할당 늘릴지 관심 커져
2030년 탄소감축 목표 상향으로
탄소배출권 가격 강세 지속 전망
재무부담 커지면서 주가 악영향
尹 정부 '속도조절' 기대감도
무상할당 늘릴지 관심 커져

시멘트·철강업체 타격

정부는 지난 3월 시행령을 통해 2030년 탄소배출량을 2018년에 비해 40%가량 줄이겠다고 밝혔다. 종전(26.3%)보다 탄소 감축 목표치를 13.7%포인트 높게 잡았다. 감축 목표를 높인 만큼 탄소배출권 가격이 큰 폭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기업은 탄소배출량이 정부로부터 받은 무상 할당량보다 많을 경우 초과분만큼 배출권 시장에서 돈을 주고 구입해야 한다. 탄소 규제가 강화된 만큼 수요가 늘어난 탄소배출권 가격도 치솟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한은 관계자는 “탄소배출권 가격 흐름을 전망하기가 쉽지 않아 작년 유럽의 가격 상승률을 단순 적용해 계산했다”며 “불어난 탄소배출권 매입 비용을 고려해 기업의 부가가치 감소 폭과 주가 흐름을 산출했다”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들이 탄소 감축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자들도 탄소중립 제도 변화와 기업들의 저탄소 전환 전략 등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탄소 충격 과장됐다” 반론도
한은의 전망이 지나치게 비관적이란 지적도 있다. 한국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폭이 유럽만큼 크지 않을 것이란 논리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탄소 감축 의무를 부여받은 기업에 연 단위로 배출권을 무상 할당했다. 지난해부터는 배출권의 유상 할당 비율을 10%까지 늘렸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무상 할당 비중이 높다. 코로나19로 공장 가동률을 낮춘 한국 기업 중 상당수가 적잖은 배출권을 쌓아놓은 배경이다. 공급이 늘면서 한국의 탄소배출권 가격은 올해 초 t당 3만5100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똑같은 탄소배출권이 유럽(11만9000원)의 3분의 1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는 얘기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