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떨어질까 청약도 못하겠어요"…서울서 할인 분양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반기 서울 청약 경쟁률, 전년 4분의 1 그쳐
무순위 청약 재수·삼수까지
고점 인식 확산에 가격 민감도 높아진 여파
"분상제 적용 브랜드 단지 나오면 달라질 것" 전망도
무순위 청약 재수·삼수까지
고점 인식 확산에 가격 민감도 높아진 여파
"분상제 적용 브랜드 단지 나오면 달라질 것" 전망도
![서울 강북구의 한 재개발 단지에 청약 1순위 마감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 단지는 청약 당첨자가 대거 계약을 포기하며 무순위 청약에 나섰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ZA.30158173.1.jpg)
28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23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29.7대 1로, 지난해 124.7대 1의 4분의 1이 채 되지 않는 수준까지 내려왔다. 아파트 청약 시장 열기가 꺾이면서 미분양 물량도 증가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미분양 아파트는 전월 대비 약 90% 증가한 688가구에 달했다. 올해 2월 47가구였던 것이 3월 180가구 4월 360가구 5월 688가구로 급격히 늘며 3년 2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청약 시장이 부진한 이유로는 부동산 시세 하락이 꼽힌다. 부동산 가격이 우상향을 지속하면 분양가가 다소 비싸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하락세를 보이니 소비자들이 가격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평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지난달 첫째 주 0.01% 반등한 것을 제외하면 1월 셋째 주(17일) 이후 하락과 보합을 거듭하고 있다. 5월 다섯째 주부터는 4주 연속 하락했는데, 올해 들어 하락 폭만 0.18%에 달한다.
![서울의 한 부동산 중개사무소에 매물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ZA.30441092.1.jpg)
집값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대형 건설사가 서울에 공급하는 브랜드 아파트도 무순위 청약으로 내몰렸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는 아파트는 미계약으로 남는 가구들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 1월 강북구에서 1순위 청약을 진행한 '북서울 자이 폴라리스'는 전용 84㎡ 분양가가 최고 10억3100만원에 달해 결국 무순위 청약을 겪었다. 같은 지역에 공급하지만, 전용 84㎡ 기준 분양가는 약 11억5000만원으로 더 비싼 '한화 포레나 미아'도 139가구가 미분양됐다. 오는 29일 2차 무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서울 성동구 응봉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ZA.30441087.1.jpg)
업계에서는 서울에 분양가 상한제 단지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탓이라고 진단한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은 단지들이 가격을 인근 시세보다 높게 책정하면서 수요자들의 외면을 샀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미분양 단지 대부분은 분양가 상한제 미적용 단지"라며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비싸니 청약 매력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된 브랜드 아파트라면 청약 경쟁률이 다시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