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차 몰래 타다 사고 냈어"…미성년 아들 전화에 '멘붕' [김수현의 보험떠먹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성년자 자녀 '무단 운전' 교통사고 발생 사례
원칙상 절취·도난 시 차 보유자 보상 책임 없어
단, 보유자·절취자 간 인적 관계 성립 시 예외
운행자 책임 인정 시…보험 대인배상 처리 가능
원칙상 절취·도난 시 차 보유자 보상 책임 없어
단, 보유자·절취자 간 인적 관계 성립 시 예외
운행자 책임 인정 시…보험 대인배상 처리 가능

최근 미성년자가 무단 운전을 하다가 교통사고를 내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무단 운전이란 특정 자동차의 소유자나 정당한 권리자의 승낙 없이 해당 자동차를 운전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미성년자는 무면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면허가 있더라도 운전이 미숙한 상태에서 홀로 운전대를 잡기도 합니다. 그렇게 되면 사고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누군가가 자신의 자동차를 절취 또는 훔친 뒤 교통사고를 냈다면 자동차 보유자의 책임 여부에 대해 어떻게 판단될까요. 원칙으로는 사고 발생에 따른 자동차 보유자의 책임을 묻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 따르면 '자기를 위해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는 그 운행으로 인해 다른 사람을 사망하게 하거나 부상하게 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한정적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실질적인 보유자라 하더라도 자동차가 절취됐을 때는 자신을 위해 자동차가 운행된다고 볼 수 없기에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책임을 지지 않는 것입니다.
예외는 있습니다. 박씨의 사례처럼 절취자가 자동차 보유자와 고용관계에 있는 인물이거나 가족 또는 친족으로 인적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입니다. 이처럼 특정 관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이뤄진 무단 운전의 경우엔 자동차 보유자에게도 운행자 책임이 될 수 있습니다. 무단 운전으로 발생한 교통사고에 대한 보유자의 운행자 책임 여부는 다수 근거를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과 열쇠의 보관 및 관리 상태, 보유자와 운전자와의 인적 관계, 보유자의 의사 없이 자동차 운행이 가능했던 경위, 무단 운전자의 차량 반환 의사 유무, 무단 운전 후 보유자의 사후 승낙 가능성 등이 판단 요소로 작용하게 됩니다.
재판부는 먼저 두 사람이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인 점과 아들이 사고를 내기 이전까지 쉽게 자동차 열쇠를 손에 넣어 바로 자동차 운행에 나설 수 있는 상황에 놓였던 점을 우선 고려했습니다. 여기에 부모가 열쇠를 특별한 관리 없이 방치한 것에 대해서도 자녀가 일으킨 교통사고에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이외에도 아들이 집에 돌아오는 길에 사고를 냈던 것을 미루어보아 자동차의 반환 의사가 명백했던 점,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부모가 자식의 무단 운전에 대해 추후 승낙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등이 미성년자 아들의 교통사고에 부모의 운행자 책임이 있다고 판결하는 데 근거로 작용했습니다.
판례에 등장하는 무단 운전에 따른 교통사고와 조건에서 유사성을 보이는 만큼, 박씨 아들의 교통사고에 대해서도 부모의 운행자 책임이 인정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동차 보유자인 박씨 남편의 자동차종합보험으로 교통사고의 대인배상 처리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 대물배상의 경우엔 사례에 따라 보험 처리 여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물배상의 손해배상책임은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이 아닌 민법을 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자동차 보유자의 운행자 책임 여부는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 적용되는 만큼 대인배상 처리에 한해서 우선 진행될 수 있다. 자동차 보유자의 보험사에서 피해자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라며 "대물배상의 경우엔 자동차 보유자의 운행자 책임 여부가 아닌 민법상 손해배상 책임 여부를 따지고 이에 따라 보상 여부가 결정된다. 단, 대인과 대물배상 처리 모두 구체적인 정황과 상황 조건 등을 철저히 따져야 할 필요성이 큰 만큼 사례에 따라 판단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단 점은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